복지부가
수정바델지수의 등급간 점수 조정 등을
뇌병변장애판정기준의 주요 개정안으로 내세운 것에 대해 뇌병변 장애인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이하 한뇌협)는 28일 오전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
뇌병변장애판정기준을 뇌병변장애인들의 목소리를 듣고 현실에 맞게 전면 수정하라"고 촉구했다.
한뇌협은 "복지부는 뇌병변장애인의 요구를 무시한 채
수정바델지수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수정바델지수로 평가가 어려운 장애상태를 위한 평가항목을 신설했다고 하나, 이 항목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우선 한뇌협은 "지체·시각·청각장애인의 경우 신체손상이나 기능상실로 인한 기능장애로 판정을 하나, 뇌병변장애인은 주로 일상생활동작 정도를
수정바델지수로 판정하고 있다"며 "이는 같은 정도의 신체, 기능장애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 판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
수정바델지수는 4항목에서 용변처리를 측정하고 있음에도 7항목과 8항목에서 배뇨·배변조절(20점)에 관한 부분을 세분화해 다시 측정하고 있다"며 "결국 뇌병변장애인이 일상생활동작에 전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더라도 배뇨·배변조절이 가능할 경우 장애등급이 하락돼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한뇌협은 "신설된 평가항목은 각 등급마다 제시하고 있는 마비(경직), 관절구축 등이 어떠한 기준에서 각 등급으로 구분돼 있는지 모호하다"고 꼬집었다.
이밖에도 한뇌협은 개정령안의 뇌병변장애등급 1-3급에 '전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란 항목이 들어간 것에 대해 "(개정령안에서 말하는)뇌병변2,3급은 '전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활동지원제도(1급에 한함)를 지원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