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연장 시한부 시행…그리고 역사속으로복지부는 2009년 12월 31일자로
LPG 지원 사업을 전면 종료할 예정이었지만, 국회에서 166억원 증액에 따라 6개월간 한시적으로 연장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LPG 지원 사업이 ‘시한부’ 사업으로 전략하며 차량 이용이 잦은
장애인들의 부담만 더욱 가중시켰다.
2010년 6월 31일 복지부는
LPG 지원 사업 완전 종료를 알리고
장애인연금을 통해 저소득층이 소득보장
지원, 활동보조 등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장애인계는
장애인연금이 기대 보다 낮게 책정 됐다며 불만을 표출해내기도 했다.
LPG 지원 사업이 폐지 된 지도 2년이 흘렸다. 하지만
LPG 지원 사업의 부활을 기대하는
장애인들은 여전히 많다.
현재
LPG 차량을 이용하는 임동주(지체장애 1급) 씨는 “
LPG가 휘발유나 경유보다 싸서 구입해서 탔는데, 지금은 너무 올라버렸다. 현재 휘발유나 경유,
LPG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차량을 이용해서 일하는
장애인에게
LPG 만큼 좋은 제도는 없었다. 지체
장애인의 경우 차는 꼭 필요하다. 다시 생겼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에이블뉴스 사이트 내 ‘
LPG’ 관련 기사의 댓글을 살펴보면,
LPG 지원 사업의 부활을 염원하는
장애인도 있다.
‘
장애인 단체라 하지 마라’님은 “기존의
장애인 LPG 유류 보조
지원에 대한 부정과 악용되는 점을 보완해야 된다”면서 “
장애인을 보호 하지 않는 가족 및 친인척의 사용을 배제 하고, 실질적인
장애인 본인 및
장애인을 돌보는 1차 가족에 한 해서
장애인 유류 보조
지원을 행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LPG 지원 다시 부활 시킬 수 있을까?역사속으로 사라진
LPG 지원 사업. 다시 되돌릴 수 있을까?
장애인단체 실무자들에게
LPG 사업의 부활 가능성에 대해 물어봤다. 이들은
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는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실제 부활의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입을 모았다.
먼저 한국
장애인단체총연합회 서인환 사무총장은
LPG 지원 사업의 부활보다는 모든
장애인에게 지급되는 교통수당 명목으로 새롭게
지원하는 것이 맞다는 목소리를 냈다.
서인환 사무총장은 “이미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드러난
LPG 지원을 다시 살리자고 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 한다”며 “차량 이용 유무를 떠나 모든
장애인에게
지원하자는 맥락으로 연금 도입이 된 만큼 예를 들어 중증
장애인은 3만원으로 주는 교통수당 식으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서 총장은 “
장애인계에서 현안을 잡고 다시 필요성의 목소리를 내야 되지만, 현재 다른 현안들이 많아 (
LPG 지원 사업의 필요성이) 후순으로 많이 밀려난 것 같다”고 해석했다.
한국지체
장애인협회 김태호 사무총장도
LPG 지원 사업의 부활은 ‘희박’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태호 사무총장은 “
LPG 지원을 없앴을 당시 예산이 많이 차지한다는 이유가 컸다. 결국
LPG 지원은 폐지됐고, 그에 따른 예산이
장애인연금으로 편성됐다”면서도 “현재 현장에서 아직도
LPG 지원을 포함한 면세유
지원을 희망하는
장애인은 많다. 하지만 그 당시에도 면세유
지원 도입으로 확대를 원했지만 예산이라는 벽에 막혀 안 됐었다”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현재도 아마 예산 때문에 어렵지 않을 까 싶다. 이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 된 게 아니기 때문에 (의견을 내고) 부활을 이끌어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장애인 당사자들의
LPG지원의 부활 희망과는 반대로, 실현 가능성이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이전에도 그랬듯
장애인들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 수 있는 힘이 있다. 꺼진 불씨에 다시 불을 붙일 수 있는 힘을 만드는 것은 바로
장애인 당사자들의 몫이다.
[창간 10주년 설문조사] 애독자 여러분이 에이블뉴스를 평가해주세요[댓글해주세요] 에이블뉴스 창간 10주년에 바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