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포해변 해안로 공중화장실의 경우 남녀비장애인화장실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2월 22일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강원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등 관계 기관과 합동으로 ‘사회 통합적 평창올림픽 유산 창출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 중 하나는 지난해 말까지 ‘2018평창패럴림픽대회’ 개최도시인 강릉, 평창, 정선의 숙식업소와 공중화장실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완료가 들어 있었다.

특히 지난 7일 행정안전부는 평창, 강릉, 정선지역에 특별교부세 38억5000만원을 투입해 공중화장실 7곳을 신축하고 52곳을 리모델링하면서 장애인용 화장실이 새롭게 마련된 곳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평창, 정선에 이어 12일 강릉을 찾아가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을 지 점검했다. 점검한 곳은 총 12곳으로 6곳씩 2회에 나눠 연재한다. 두 번째는 경포해변 해안로, 경포해변 중앙통로, 경포인공폭포, 경포대 해변 번영회 인근주차장, 경포대 주차장, 삼일기념공원 공중화장실 점검결과다.

■경포해변 해안로 공중화장실=남녀비장애인화장실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경포해변 중앙통로 공중화장실=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에 장애인 등을 위한 남녀공용 가족사랑화장실이 설치돼 있다.

가족사랑화장실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이며, 내부의 장애인 편의 시설도 미흡했다.

내부 공간이 협소함에도 어린이 용변기와 소변기가 설치된 반면 세면대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용변기 양옆에는 설치해야할 손잡이가 없고, 용변기에 자동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고, 비상호출벨도 없다.

가족사랑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면대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없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이용할 수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경포인공폭포 공중화장실=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터치식자동문인 반면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접이식이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없다. 반면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세면대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없다.

■경포대 해변 번영회 인근주차장 공중화장실=입구에 설치된 경사로의 경사도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홀로 오르내리기에는 가파른 상태이며, 남녀비장애인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경포대주차장 공중화장실=입구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완만한 경사도의 경사로가 설치됐다. 반면 계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여닫이, 남녀장애인화장실 미닫이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이중의 고통을 겪는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비상호출벨도 없다.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세면대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삼일기념공원 공중화장실=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여닫이, 남녀장애인화장실 미닫이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이중의 고통을 겪는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반면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설치됐고, 휴지걸이도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경포해변 중앙통로 남녀공용 가족사랑화장실 내부. 공간이 협소함에도 어린이 용변기와 소변기가 설치된 반면 세면대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용변기 양옆에는 설치해야할 손잡이가 없고, 용변기에 자동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고, 비상호출벨도 없다. ⓒ박종태

경포해변 중앙통로 남녀공용 가족사랑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면대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없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이용할 수 없다. ⓒ박종태

경포인공폭포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박종태

경포인공폭포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없다. 반면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됐다. ⓒ박종태

경포대 해변 번영회 인근주차장에는 남녀비장애인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박종태

경포대주차장 공중화장실 입구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완만한 경사도의 경사로가 설치된 반면 계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경포대주차장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비상호출벨도 없다.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박종태

삼일기념공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박종태

삼일기념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반면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설치됐고, 휴지걸이도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됐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45)씨는 일명 '장애인 권익 지킴이'로 알려져 있다. 박씨는 고아로 열네살 때까지 서울시립아동보호소에서 자랐다. 그 이후 천주교직업훈련소에서 생활하던 중 뺑소니 교통사고를 당하고, 92년 프레스 기계에 손가락이 눌려 지체2급의 장애인이 됐다. 천주교 직업훈련소의 도움을 받아 직업훈련을 받고 15년정도 직장을 다니다 자신이 받은 도움을 세상에 되돌려줄 수 있는 일을 고민하다가 92년부터 '장애인 문제 해결사' 역할을 해왔다. 97년 경남 함안군의 복지시설 '로사의 집' 건립에서 부터 불합리하게 운영되는 각종 장애인 편의시설 및 법령 등을 개선하는데 앞장서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6월 한국일보 이달의 시민기자상, 2001년 장애인의날 안산시장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해결사'라는 별명이 결코 무색치 않을 정도로 그는 한가지 문제를 잡으면 해결이 될때까지 놓치 않는 장애인문제 해결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