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패럴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보치아 대표팀이 9회 연속 금메달이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우리 대표팀은 4일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보치아 BC3 페어 결승에서 일본을 상대로 연장 접전 끝에 5대4 승리를 거뒀다.
보치아는 표적구(흰색 공) 가까이에 있는 공이 높은 점수를 얻는 경기다. 경기장에서 선수들은 매 회마다 6개의 빨간색 공과 파란색 공을 갖고, 표적구에 더 가까이 던진 공 1개당 1점을 부여한다. 선수들은 손이나 발, 막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공을 던지거나 굴릴 수 있다.
특히,
보치아는 장애인 스포츠에만 있는 종목으로, 어느 나라보다 대한민국의 강세가 단연 돋보인다.
우리나라는 1988서울
패럴림픽을 시작으로 2016리우
패럴림픽까지 8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효자 종목으로 자리매김했다.
우리 대표팀은 지난 리우
패럴림픽 BC3 페어 은메달을 획득한 주역들이 다시 뭉쳤다. 이번 대회에서 정호원(35, 강원도장애인체육회), 김한수(29, 경기도), 최예진 선수(30, 충청남도직장운동경기부)가 출전해 기대감을 높였다.
앞서 우리 대표팀은 A조 예선에서 3승 1패를 기록하며 최강의 실력을 자랑했다. 그동안 우리나라 선수들의 근접전을 간파당한 만큼, 기존과 다른 장거리 전술을 다듬으며 약점을 보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러한 성과는 오전 9시 30분에 열린 홍콩과의 준결승전에서도 빛을 발했다. 3엔드에서 무려 3점을 따내며 5대2로 승리했다.
이제 9회 연속 금메달까지 남은 경기는 단 하나, 이날 결승전은 일본과의 물러설 수 없는 한일전으로 치러졌다.
일본은 B조 예선에서 3승 1패를 거두고, 준결승에서도 그리스를 상대로 5대1 승리를 따내며 만만치 않은 기세를 보였다.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는 경기, 우리 대표팀은 1엔드부터 장기인 근접전을 선보였다. 정호원 선수와 최예진 선수는 표적구에 공을 붙이며 두터운 벽을 쌓았다. 상대는 이를 뚫기 위해 쳐내기를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하지 못하며 3대0으로 앞서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