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각장애인 역도 선수가 스쿼트 종목에서 스팟터의 도움을 받아 바벨을 들고 있다. ⓒ2015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시력이 안 좋아 사물을 구별하기 힘든 시각장애인. 그들만을 위한 국제대회가 있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의 시각장애인분과 정회원 단체로 있는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이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다.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는 지난 1998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처음 개최된 것을 시작으로 캐나다 몬트리올(2003), 브라질 상파울로(2007), 터키 안탈라야(2011)에서 열렸다.

그리고 오는 5월 10일부터 17일까지는 우리나라 서울 일원에서 ‘2015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가 진행된다.

에이블뉴스는 ‘2015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의 관심을 높이고자 정식종목인 골볼, 유도, 육상, 체스, 역도, 쇼다운, 축구, 수영, 볼링을 연재를 한다. 다섯 번째는 ‘역도’이다.

시각장애인 역도는 심봉 양쪽에 무거운 원판을 낀 기구(이하 바벨)를 들어 올리는 경기다. 가장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는 선수가 우승자가 된다. 이렇기 때문에 역도를 하는데 시각장애는 제약 요소가 안된다.

세계적으로 이란, 우크라이나, 터키, 러시아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3년에 열린 몬트리올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에 출전한 것이 전부로 걸음마 수준이다.

모든 경기는 최소 2.5m×2.5m에서 최대 4m×4m크기의 경기대에서 진행된다. 또한 주변의 무대나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10cm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경기대의 표면은 평평하고 단단해야 하며, 미끄럽지 않은 부드러운 소재의 카펫을 깔아야 한다. 단 고무매트나 이와 유사한 시트는 허용되지 않는다.

한 시각장애인 역도 선수가 데드리프트 종목에서 바벨을 들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2015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시각장애인 역도는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세부종목으로 나뉜다. 등급은 남자 10체급, 여자 9체급으로 분류돼 시합이 진행된다.

선수들은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세 부문에 모두 출전해야 하며 각 부문에서 성공한 중량의 합계를 종합해 순위를 매긴다.

세 부문의 경기방식은 무거운 바벨을 들어 올린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힘을 쓰는 부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스쿼트는 바벨을 목과 등 사이에 올린 후 앉았다 일어난다.

경기를 시작하면 선수는 스쿼트 스탠드(바벨 거치대)에 있는 바벨을 목 뒤 어깨까지 든 다음 적당한 위치를 잡을 때까지 뒤로 물러선다. 이 때 감독이나 코치가 스팟터로 나서 선수가 바벨을 정확한 위치에 걸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적당한 위치를 정한 선수는 가슴을 활짝 펴고 무릎은 완전하게 편 직립자세를 취해야 하며 발은 경기대 위에 위치해야 한다.

심판은 선수가 몸을 정지시키고 바벨이 바르게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시작 신호를 박수로 알린다.

신호에 따라 선수는 바벨을 목 뒤로 댄 채 그대로 자리에 앉는다. 선수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는 고관절 부위의 다리 상단 표면이 무릎의 상단보다 더 낮아질 때까지 무릎을 구부려 몸을 낮춰야 한다.

완전한 자세를 취한 뒤 선수는 다시 일어서서 처음과 마찬가지로 무릎을 곧게 펴서 직립자세를 취하고 심판은 ‘다운’이라는 명령을 한다. 심판은 선수가 바벨을 스탠드에 올려놓으면 판정을 내린다.

벤치프레스는 선수가 벤치(벤치프레스를 하기 위해 누울 수 있는 의자)에 누운 상태에서 바벨을 들어 올린다.

선수는 뒤로 누운 상태에서 머리, 어깨, 엉덩이를 벤치 표면과 접촉해야 하고 발은 바닥에 밀착되도록 붙여야 하며 리프트(경기에서 일정 무게의 역기를 들어 올리는 경우)시에는 이 자세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단 발을 움직이는 것은 허용되지만 경기대 바닥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리프트 신호를 받은 선수는 거치대에서 바벨을 들어 가슴이나 복부 부위로 내린 다음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주심이 ‘프레스’라고 구두 지시를 내리면 팔을 곧게 뻗어 바벨을 들어 올리고 팔꿈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선수는 랙이라는 구령이 나올 때까지 정지상태로 들고 있어야 한다.

선수는 심판의 신호에 따라 바벨을 똑바로 들어 올리고 심판은 자세가 됐다고 판단되면 구두로 내리라는 지시를 내린다.

데드리프트는 시각장애인 선수가 발 앞에 놓인 바벨을 허리까지 들어 올렸다가 내린다.

선수는 허리를 굽혀 발 앞에 놓인 바벨을 잡고 심판의 시작 신호를 기다린다. 선수는 허리를 쭉 펴면서 바를 허리까지 들어올린다. 선수가 바를 잡고 일어서는 행휘를 하나의 연속 동작으로 행해야 하며 바벨을 허리까지 들어 올렸을 때 선수는 완전한 직립자세를 취한 상태여야 한다.

심판은 바벨이 정지하면 내리라는 신호를 내리고 선수는 무릎을 조심하면서 상체를 숙여 바벨을 원위치에 내려놓는다.

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에 출전하는 우리나라 역도 대표팀은 문광식, 안동수, 김근철, 이경규, 이진우 선수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지난 4월 19일 이천종합훈련원에 입소해 훈련을 하고 있다.

선수들의 하루는 오전 6시 아침 조깅으로 시작된다. 오전 10시부터 11시 40분까지는 근지구력 훈련, 웨이트 훈련을 하고, 오후 3시부터 5시 30분까지는 시합에 필요한 전문기술 훈련을 한다.

촘촘히 구성된 훈련으로 하루를 보내고 있지만 시각장애인 역도 종목에서 높은 순위에 드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시각장애인 역도 종목은 선수층이 얇을 뿐더러 세계적 수준과의 실력차도 많이 나기 때문이다.

대표팀 박근영 감독은 “시각장애인 역도는 장애인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다보니 재정지원 등이 미비하다. 시각장애인 역도 국가대표라는 것도 이번에 처음 만들어 진 것”이라면서 “꿈나무 선수들을 육성·발굴하지 않는 한 성과를 내기는 힘들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4년에서 8년후면 메달권에 근접할 수 있는 선수들이 있으나 밤에는 일을 하고 낮에는 잠깐 운동을 하다 보니 실력을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급하게 만들어진 국가대표팀이지만 남은 기간 동안 훈련에 매진해 경기에 임할 것”이라면서도 “이번 대회를 통해 선수들이 국제경험을 쌓고, 부상 없이 마무리 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 시각장애인 역도 선수가 지도자로부터 역도 기술 훈련을 지도받고 있다. ⓒ2015서울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