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골프를 즐기는 장애인들.ⓒ에이블뉴스DB

최근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세계신체장애인야구대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등 장애인 스포츠가 주목받고 있는 반면, 생활체육 부분에서는 한 없이 열악한 실정이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최근 장애인정책리포트 ‘장애인 생활체육, 과연 얼마나 생활 속에 있나?’라는 주제로 생활 체육 전반적인 현실과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생활체육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체육활동이며, 개인이 전 생애를 통해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체육 활동참여의 기회를 함유함으로써 복지국가를 평가하나는 하나의 척도이기도 하다.

■비장애인과 3배 격차, 냉혹한 현실=그러나 장애인 생활체육의 현실은 냉혹했다. 먼저 환경 제약에 따른 비장애인과의 격차 부분을 꼽을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2012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에 따르면, 주 2회(1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율은 35%로 조사됐는데 이는 대한장애인체육회의 같은 해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속 생활체육 참여율 10.6%와 3배 이상의 격차다.

또한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비만 유병률이 2002년 35.7%에서 해마다 증가해 2008년 39.5%, 2011년 39.4%까지 치솟았는데 비장애인의 비만 유병률이 2002년 33.7%에서 2011년 30.9%로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비장애인과는 달리 장애인은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실제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은 전국 31곳뿐이다. 그나마도 서울 8곳, 6대 광역시 18곳 등에 몰려있는 현실. 이는 시설 1곳당 장애인 8만여명이 사용하는 셈이다.

지자체 장애인 체육 예산도 반 토막 수준이다. 경기도의 경우 올 예산은 작년에 비해 총 4230억원 늘은 반면, 장애인전문체육 예산 6억원 이상 삭감, 장애인 생활체육 약 1억2천만원을 삭감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는 문체부와 2002년 아태장애인경기대회 개최 잉여금에 대해 반납과 부산시 장애인체육시설 지원에 활용해야 한다는 갈등으로 인해 지난 5월부터 약 37억원의 체육 관련 예산을 지원받지 못 하고 있다.

■체육시설 가도, 장애전문가 ‘없다’=생활체육의 문제점은 환경 문제만이 아니다. 실제로 장애인이 체육시설에 방문해도 도울 지도자가 없다는 것이 문제다.

장애인체육회의 ‘2013년 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 장애인들은 운동을 할 때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1.4%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은 국가 공인을 받지 못한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장애인스포츠지도자” 뿐이다. 더욱이 급수 구별 없이 1단계로 운영되고 있어 전문성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또한 지난해 기준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는 총 230명으로, 1인당 평균 1만887명의 장애인을 전담하고 있다. 이마저도 장애인체육을 전공한 지도자가 모자라 비장애인 전공 지도자가 장애인을 가르치는 게 일반적인 상황인 것.

이에 리포트는 ▲중앙 및 지방정부 지원 확대 ▲국민체육진흥법 속 장애인 관련 조항 추가 ▲장애인스포츠 인식개선에 관한 방법 연구 등을 제언했다.

리포트는 “최우선적으로 중앙정부의 체계화된 제도와 지원으로 생활체육의 인프라가 확충 돼야 한다. 체육시설 및 편의시설을 갖추고 재정적인 지원을 갖춰야 한다”며 “법 개정을 통해 비장애인 체육과 같이 법적 근거에 의해 체계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