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자립생활 권리 보장을 위한 전국거점
순회투쟁이 11일 동안의 일정을 마감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자립생활권리보장위원회(이하 자립생활위원회)는 20일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전국 거점 순회 투쟁 해단식’을 개최,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 보장을 위한 요구안의 정책 반영을 촉구했다.
투쟁은 자립생활위원회에서 활동하는 20명의 투쟁위원과 거점도시별 한자연 회원센터 활동가들이 함께 거리행진을 통한 대국민 선전전을 진행하고,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기자회견 후 요구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들은 지난 10일 부산시청, 11일 경남도청, 12일 보건복지부, 13일 충북도청, 19일 경기도청에 지역 요구안을 전달했다.
부산시청에 전달한 지역 요구안에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비 인상,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평가 절대평가 도입, 활동지원서비스 24시간 10명 시행 등이 담겼다.
경남도청에는 경상남도장애인 연수원 건립, 장애인자립생활지원조례 제정, 활동보조서비스 24시간 보장, 탈시설 전환센터 설치 및 자립주택 마련, 장애인 노동권, 주거권, 문화권 확보, 성폭력 피해 여성장애인 쉼터 마련 등을 요구했다.
복지부에 전달된 요구안은 문재인 정부에 탈시설 지원정책 재정 확보 및 법적 근거 강화, 장애인동료상담가 공공·민간 일자리로 확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예산확대·법적지위 보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충북도청에는 탈시설 지원 정책 재정 확보, 장애인 동료상담가 양성, 충북 조례에 의거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예산 확대, 충북 장애인 전담과 설치 및 복지인력 확충, 장애인 및 교통약자 광역 이동권 보장 등 5가지 요구안을 전달했다.
경기도청에 전달된 요구안에는 탈시설 정책 수립,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동료상담서비스 제도화,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법적지위 보장이 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