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사각지대 50만명 발굴, 지원은 22% 그쳐
김상훈 의원, “반쪽자리 정책에 불과” 지적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7-10-16 08:51:53
정부가 생활고로 인해 일가족이 스스로 세상을 등진 ‘
송파 세모녀’사건 이후 유사 빈곤계층 50만여명을 발굴했지만 정작
지원은 11만여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사회보장정보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 의원(자유한국당 )에게 제출한 ‘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따른
지원현황’에 따르면 2015년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8차례에 걸쳐 발굴한 복지 관련 고위험 대상자는 49만 8486명에 달했다.
2016년까지 32만 3000여명, 올해 들어 17만 5000여명이 발굴된 것으로 이는 2014년 ‘
송파 세모녀’사건 이후 사회보장급여법 개정에 따른 ‘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이 추진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 중 차상위(1만3022명) 및 기초생활보장(8586명), 긴급복지(1958명) 등 실제 복지서비스
지원으로 이어진 것은 11만 613명에 그쳤다. 비율로는 22.1%에 불과한 것으로 고위험자 10명 중 7-8명은 여전히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발굴인원 50만명 중 10만 5000여명은 과거 복지서비스를 받은 이력이 없었으며, 이들 중 8446명(8.0%)만이
지원 대상으로 포함돼 9만여명은 완전히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발굴 대비
지원율이 24.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광주(24.1%), 제주(23.9%) 순이었다. 반면 세종시가 18.1%로
지원율이 가장 낮았고, 충북(19.1%), 인천(20.7%)이 그 뒤를 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
지원 대상을 찾아놓기만 하고
지원을 하지 않는 다면 이는 반쪽자리 정책에 불과하다”면서 “주무기관인 사회보장정보원은 현 발굴지표가 사각지대에 처한 분들의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혹여 대표성이 부족한 지표를 활용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하고, 최소한 절반이상은 실제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표를 업데이트 할 것”을 주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권중훈 기자
(gwon@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