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사직운동장에서 해운대 신시가지까지 자전거
거리로 검색을 해 보니 15km 정도였다.
전동스쿠터는 자전거처럼 달릴 수가 없고 길도 마땅치 않으므로 20km쯤으로 잡고, 아침에 집에서 출발하여 지하철을 이용하여 사직운동장 부근까지 가서 온종일 있다가 밤에는
전동스쿠터로 집까지 갔다면 적어도 30km쯤은 될 것 같은데 그래도 배터리가 충분했단다.
“처음
전동스쿠터를 탈 때는 재미가 있어서 자갈치나 송도 태종대 등으로 온종일 돌아다녔는데 요즘은 어림도 없는 것 같습니다.”
배터리는 300회 이상을 충전하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해서 그때부터는 배터리를 한 번 충전할 때마다 핸드폰에 기록한단다. 필자가 만난
장애인 중에는 승용차에 LPG를 충전할 때마다 기록하는 사람은 봤지만 배터리를 충전할 때마다 기록하는 사람은 A 씨가 처음이었다.
전동스쿠터에는 배터리 용량이 교통 신호등처럼 초록, 주황, 빨간색으로 표시되는데 초록색을 다 사용한 후 주황색으로 넘어가면 배터리가 약 70%까지 소모된 상태이고, 빨간색으로 넘어가게 되면 90%까지 소모된 상태로 배터리의 잔량은 대략 10% 미만이 된다고 한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충전해야 되므로 빨간색이 되기 전에 충전을 해야 된단다. 배터리는 한 번 할 때마다 효율성이 떨어지는데 휴대폰 배터리도 마찬 가지므로 용량이 50% 이하로 내려가면 충전하란다.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지체장애 1급 B 씨는 배터리 계기판이 전자식이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배터리 용량을 초록이나 주황은 믿을 수가 없어서
전동스쿠터 회사에 전화했습니다. 요즘은 휴대폰 배터리도 용량을 퍼센트(%)로 표시하는데 스쿠터도 전자식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뭐라 하는 줄 압니까?”
현재
전동보장구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 4월 고시한 가격으로
전동휠체어 209만 원,
전동스쿠터 167만 원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금으로서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고 하더란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은 이미 옛이야기가 된 지 오래지만 그래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가격에서 10년도 훌쩍 지났다. 그동안 인건비를 비롯하여 각종 재료비 등 만 가지가 다 올랐음에도
전동보장구 가격은 2005년 4월의 고시 가격 그대로이니 전자계기판 사용은 어림도 없을 것 같다.
그래서 보건복지부에 여러 차례 전화를 해보았지만 통화가 되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129에 전화를 해서 사정을 얘기했더니 자기가 대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서면으로 질의를 해 보라고 했다. 그래도 다시 한 만 더 해보자 싶었는데 일주일 후에야 통화가 되었다.
“
전동휠체어의 고시 가격은 209만 원이지만 종류는 37가지나 되고 가격도 다양하다. 만약 고시 가격을 인상한다면 현재의 다양한 가격도 전부 다 인상될 것이므로 가격 인상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대부분의
장애인은 "시대가 변한 만큼
전동보장구도 전자계기판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데 현재로서는 꿈같은 얘기 같다.
그런데 A 씨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고 했다. 얼마 전 친구 B 씨가 놀러 왔는데 "
전동휠체어의 발판이 이상하게 구부러져 있다."란다. "왜 안 고치느냐?"고 했더니 구입한 대리점에서는 못 고친다면서 "새로 바꾸라."고 하더란다.
“별것도 아닌데 대리점에서도 못 고친다는 게 말이 됩니까?”
A 씨는 웬만한 공구는 다 갖고 있으므로 그날 친구 B 씨의
전동휠체어 발판을 고쳐 주었단다.
그뿐 아니라
전동스쿠터를 타고 가는데 배터리 용량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동스쿠터가 멈춰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녹색 신호등에 사
거리를 지나는데 스쿠터가 멈추는 바람에 정말 난감했습니다.”
그래도 낮이라서 차들이 비껴갔고, 지나가던 사람들에게 부탁해서 겨우 옆으로 빼낸 후 회사에 연락했다고 했다
“한 번은 내리막길을 가다가 뒤집어지는 바람에 지나가던 사람이 119를 불러주어서 병원으로 실려 가기도 했습니다.”
A 씨는 그 후유증으로 아직도 치료를 받고 있고,
전동스쿠터는 폐차한 상태란다.
“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의 고장은
장애인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입니다. 승용차가 고장 나면 정비공장에서 수리를 받아야 하는데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고장 나면 어디서 누구에게 수리를 받아야 합니까?”
A 씨는 흥분해서 볼멘소리를 했다. 다른
장애인들에게 문의를 해 보니 모두가 비슷한 얘기를 했다.
전동보장구를 구입한 곳에 수리를 맡길 수밖에 없는데 100% 신뢰가 안 간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