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박경수 교수.ⓒ에이블뉴스

전체 중소기업의 1%를 차지하는 장애인기업이 여전히 창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맞춤형 창업교육 시스템 등 경영개선을 위한 종합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박경수 교수는 10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동반성장연구소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주최한 ‘제24회 동반성장포럼’에서 장애인기업 실태 및 구체적 개선방안을 내놨다.

현재 장애인기업 정책과 관련해서는 중소기업청이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장애인기업을 육성‧지원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제정된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이 그 주 내용.

장애인기업은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 또는 당해 기업에 상시근로자 총수 중 장애인의 비율 30% 이상인 기업을 의미한다.

현재 장애인기업의 수는 3만4761개로 추정되고 있으며, 기업 특성을 보면 규모별로는 소상공인이 90.6%로 월등히 높다. 이어 소기업 7.9%, 중기업 1.5%로 구성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42.4%, 도소매업 22.6%, 숙박‧음식 10.3%, 개인서비스업 9.5% 순이다.

기업형태는 개인사업체 76.9%, 회사법인 22.4% 순이고, 장애인기업의 60% 가량은 업력이 10% 이상이다.

하지만 여전히 취약한 창업형태가 문제다. 장애인기업 대표자들의 애로사항은 자금조달이 62.6%로 가장 높은 것. 이어 매출부진 33.8%, 마케팅 능력 8.6%, 인력관리 5.3% 순이다.

필요한 정부지원 역시 창업자금 지원이 71.7%로 가장 높고, 세금지원 확대, 컨설팅 지원, 시장정보제공으로, 장애인기업 운영 및 경영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것.

먼저 박 교수는 장애인기업의 규모별, 업종별 욕구에 따른 ‘창업교육 시스템’ 강화를 대안으로 꼽았다. 각각 기업마다 운영상의 어려움, 필요한 지원이 다른 만큼 맞춤형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

박 교수는 “각각의 욕구 특성을 반영한 창업교육 시스템을 강화해 맞춤형 지원 전략을 마련하고 교육을 기반으로 매출증대와 판로개척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장애인기업 CEO 맞춤형 교육을 더욱 확대 보완해 새로운 장애인기업 문화를 견인해 가는 리더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10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동반성장연구소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주최한 ‘제24회 동반성장포럼’.ⓒ에이블뉴스

또 박 교수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가족창업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모, 형제 등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가족창업 형태를 지원함으로써 중증 또는 고령 장애인이 가족 분위기 안에서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

장애인 예비창업자의 경우 향후 창업 유형은 개인 창업(20.5%)보다 팀 창업(79.5%)을 선호하는데 구성원 관계는 해당 창업업종 경력자, 가족, 친구 등 지인 순이다.

박 교수는 “중증장애인의 경우 동업에 대한 위험부담과 장애에 대한 이해 등을 고려할 때 가족창업이 적절하다”며 “지원대상은 지역 내에서 소규모사업장을 경영해 본 경력이 있고 중증 혹은 고령장애인을 고려해 새로이 창업하고자 하는 장애인 가족에 집중해 차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현재 2년 주기로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를 실행하고 있지만 부족하다. 장애인기업 정책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들을 축적해야 한다”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경우 매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등을 시행해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장애인기업 패널조사 등의 관련 통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박 교수는 세제감면 정책 확대, 장애인기업도 근로지원인 서비스 제공, 유망 예비 장애인창업가 적극 발굴, 판로를 위한 공공구매제도화 필요, 대기업과 장애인기업 동반성장모델 개발 등을 함께 제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