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의 활동지원을 받고 있지만, 뚜껑을 열어보면 24시간 지원이 아니에요. 빨간 날이 많은 달에는 특히 두렵습니다. 돌봐 줄 사람도 없고….”인천 계양구에 사는 이재익 씨(50세, 지체장애)가 에이블뉴스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해왔습니다.
인공호흡기를 24시간 착용하는
근육장애인인 그는 손가락 하나로 컴퓨터 마우스를 움직여 블루투스 이어폰을 연결, 어렵사리 전화를 걸어온 겁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그가 당장 다음 주 설 연휴로 인해
활동지원 공백이 생긴다는 우려에, 그가 독거로 거주하는 아파트에 방문했습니다.
올해 50세가 된 그는 전동휠체어 조종조차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최중증
장애인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집 안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일주일 2~3번 정도는 지하철을 이용해 서울로 나가 활동을 하는 정도고요.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
활동지원서비스’는 제도 초기부터 받아왔고요. 정부 지원 월 391시간의
활동지원급여를 받습니다. 종합조사가 아닌, 기존 인정조사에 따른 점수로, 약 13시간 수준이죠. 부족한 시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그는 2018년 12월 지자체의 ‘최중증
장애인 대상 24시간
활동지원 서비스 사업’ 대상에 포함돼 한시름 놨습니다.
그가 거주하는
인천시는 지난해 기준 인정점수 400점 이상 독거, 와상
장애인 10명에게 24시간
활동지원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시에 문의한 결과, 매일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8시간, 사실상 밤 시간
활동지원을 보장해주는 목적이라고 합니다. 이 씨가 받는 시 추가 시간은 465시간으로, 국비와 시비 포함해 총 856시간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