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자하철 역사 3곳의 장애인 편의시설이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봉노적성해센터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도봉구에 위치한 지하철 역사 3곳(도봉역, 방학역, 창동역)을 대상으로 승강장, 리프트, 장애인화장실,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기타 내부시설 및 환경 등 장애인 편의시설 전반에 대한 내용을 조사했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각 역에서 먼저 발견된 불편사항으로는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과 높이 문제로 보장구 이용자들은 물론 노인과 유모차 등 교통약자들이 위험을 느낄 만큼 간격이 넓었다.

이동식 경사로를 확보하고 있었으나 이용자들이 호출할 수 있는 기기를 찾기 어렵거나 역사 근무자들이 이동식 경사로의 유무를 인지하고 있지 못하거나 사용법, 장애인(보장구) 응대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스크린 도어가 설치돼 있지 않은 곳들은 대형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또한 장애인화장실의 시설물 환경과 관리가 미흡했다. 대부분 역사마다 공간 면적이 좁고 출입문은 접이식이나 철재문인 곳도 있었으며 손잡이가 잘못 설치되어 있거나 자동문 스위치 및 호출벨 설치 위치가 불편했다.

또한 자동문은 잠겨있을 때가 많거나 반투명으로 되어있어 이용자의 인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었고, 내부 청소가 잘 되어있지 않은 관리 소홀로 불쾌감을 느끼기도 했다.

시각장애인 승객들의 이동에 있어 필수적인 점자블록 등의 편의시설 역시 각 역사 주출입구 및 화장실 전면 등에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았다. 필요한 동선에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이어지지 않거나 노후 되어 깨져 있는 경우가 많은 것.

특히 가장 많은 불편함을 호소한 문제점은 층간 이동과 환승구간에 설치된 휠체어리프트의 안전과 관리였다.

1호선은 오래된 시설인 탓에 휠체어리프트 또한 낙후되고 잦은 고장이 발생해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실제로 이용 중 작동정지로 인해 위험이 많은 시설물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장애인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 또한 창동역 등 엘리베이터 미설치 역사에 대해 설치여부 문의와 요구가 빈번한 상황이나 관계처나 시설에서는 예산과 구조 등의 이유로 설치가 불가하다는 답변만 있을 뿐이었다.

센터는 이러한 내용들을 정리해 지난해 12월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메트로, 서울시, 도봉구 등 관계시설에 모니터링 결과 및 개선요구 공문을 발송했지만, 일부를 제외하곤 구체적인 개선 계획 조차 밝히지 않았다.

센터 관계자는 “역사 내 장애인화장실의 안이 들여다보이는 출입문의 문제점에 대해 행정상의 이유로 개선이 곤란하다는 입장은 이용자의 불편을 넘어 인권문제로 불거질 수 있는 예”라며 “당사자의 입장, 보편적 인권에 입각해 철저히 행정을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