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1년 전 제주도로 가던 큰 여객선이 전남 진도 해역에서 뒤집혔다. 그 배를 탔던 476명 중 304명은 끝내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2015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가 난지 1년. 대한민국은
세월호 피해자들의 추모와 함께 유가족들과의 아픔을 나누고 있다.
세월호 사건은 장애계에도 큰 충격을 줬다.
장애인 재난관리
매뉴얼을 홈페이지에 올려달란 요청에도 응하지 않았던
장애인단체들이 사건 이후
매뉴얼에 대한 문의가 빗발쳤다는 사연만 봐도 덮어뒀던
장애인 재난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
4월, ‘
장애인의 달’이지만 장애계는 아프다.
세월호 참사 다음날인 17일은 고
송국현씨의
화재사고가 일어난 지 1년이 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전에도
화재사건은 있었다. 지난 2012년 장애남매가 사망했고 뇌병변장애 1급의
김주영 활동가가 운명을 달리했다.
화재사고 뿐만 아니다. 동사로, 자다가 가래가 기도를 막아….
특히
장애인의 인명
대피는 자력
대피만 가능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던 사건이라 더욱 안타깝다. 서울시 소방
재난본부의 5년간의 사건을 보면,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2만8032건, 이중
장애인 사상자 발생
화재건수는 60건, 7.1%다.
비
장애인에 비해 사망률도 3.7배가 높은 수준이다. 이들의 연령대는 40대 이상 중장년 및 노년층이 80.9%로 가장 많고, 대부분 주거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일인 16일, 절박한
장애인 안전에 대한 방안이 쏟아졌다.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
장애인 재난 재해 시 자력
대피 방안 마련 토론회’장에서다.
이날 “
장애인들에게
재난은 무엇입니까?”란 발제자의 첫 질문에 따라온 답변. “일상이
재난입니다.” 그녀의 짧은 답변은 우리 사회에 큰 과제를 던진다. 그렇다. 문턱 하나 넘는 것도, 호흡기가 빠지는 것도 그에게는 ‘
재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