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빈곤사회연대 김윤영 사무국장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열리는 날 복지부에 찾아가 기초생활수급자들이 참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면서 “이는 수급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최저생계비를 계측해 달라는 절박한 요구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국장은 “이때 ‘예의 없는 사람들이다. 경우 없이 이 자리에 와서 민주적 절차를 훼손하냐’라는 이야기를 들어야 했다”며 “정말 민주적 절차가 아닌 것은 수급자의 목소리조차 낼 수 없는 현실”이라고 분통해 했다.
특히 김 국장은 최저 생계비 계측에서 수급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최저생계비를 현실화할 것을 주장했다
김 국장은 “내년도
최저생계비가 5.5% 인상됐다고 하지만 도시근로자가구 평균소득 대비해 볼 때 최저 생계비 비중은 현저하게 낮은 상태”라고 지적한 뒤 “1999년
최저생계비 비중이 40%였던 반면 현재는 30% 초반 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또한 “이 같은
최저생계비는 실제 빈곤층의 필요를 제대로 반영할 수도 없다"며 "점점 낮아지는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높은 수준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999년 기초생활보장제도가 도입된 이후 계측연도의
최저생계비 인상률을 살펴보면 2000년 3.0%, 2005년 7.7%, 2008년 5.0%, 2011년 5.6% 등이다.
'비계측연도'의
최저생계비 인상률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최저 2.75%에서 최대 4.8%까지 인상됐다.
한편
민생보위는 보건복지부장관의 ‘2014년
최저생계비’ 공표 최종 시한인 오는 9월 1일까지 ‘수급권자 하루잔치’, 부양의무제·장애등급제 폐지 공동행동 문화제 동참 등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며
최저생계비 추가 인상 요구의 목소리를 높여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