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이어온 ‘수화’냐, 언어의 의미를 부여한 ‘수어’냐”

수화기본법 제정을 위한 준비가 돼가고 있는 가운데, 법제화를 위해서는 오랫동안 혼선을 빚고 있는 용어에 대한 정리부터 짚고 가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김칠관 교수.ⓒ에이블뉴스

■용어정리 필수…‘수화언어’로 절충해야=나사렛대 재활복지대학원 김칠관 교수는 3일 ‘수화기본법 제정을 위한 농사회 용어정리 토론회’에 참석, 절충에 의한 용어의 사용 방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수화는 오랜 시간을 통해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용어이며, 농인들은 물론 많은 청인들이 사용함으로써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쓰이고 있는 수화 관련 용어는 수화, 수어, 한국수화, 자연수화, 농식 수화, 관용수화, 한국어대응수화, 문장식 수화, 청인식 수화, 손짓 한국어 등이다.

이처럼 다양한 용어에 대해 법 제정을 위해서는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

하지만 농인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팽팽하다. 최근 한국농아인협회 시도 협회 및 지부를 중심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용어로서 ‘수화’와 ‘수어’의 찬성 비율이 각각 50%, 46%로 나타난 것.

찬성 이유는 ‘수화’는 전통적인 사용과 널리 알려져 있다는 이유였고, ‘수어’의 경우는 한국어, 영어 등과 같은 언어라는 것과 손으로 사람의 감정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언어이기 때문이라는 이유.

반면, 토론회를 앞두고 진행했던 설문조사에서는 ‘수화’는 41%, ‘수어’는 59%로 ‘수어’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역시 수화는 말이란 느낌뿐 언어란 느낌이 없어, 수어의 경우, 하나의 언어로 느껴진다는 다양한 의견들로 농사회에서의 용어정리가 필요한 상황.

김 교수는 “수어를 바람직한 용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 다수 의견은 수화는 언어라는 표현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수화의 경우도 오랜 시간을 통해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용어라 혼선을 빚고 있다”며 “절충에 의한 용어의 사용방식이 필요하다. 법정용어로 수화와 수어를 아우를 수 있는 ‘수화언어’로 하되, 약어로 ‘수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수화언어의 법제화 등을 전제로 한다면 용어의 정비는 필요하다”면서도 “용어의 정비가 이분법적으로 이뤄져서는 안 된다,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절충에 의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일 ‘수화기본법 제정을 위한 농사회 용어정리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 모습.ⓒ에이블뉴스

■“수화냐 VS 수어냐” 문제로다=이에 토론자들도 용어 정리에 대한 동의를 표하면서도, “수화냐, 수어냐”에 대한 대립되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주은농선교교회 강주해 담임목사는 “수화기본법 제정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용어의 조속한 저리를 통해 혼선을 방지한다는 취지는 공감한다”면서 “‘수화’라는 용어는 언어로서의 위상과 지위를 확고하게 사람들의 머리에 인식시키는 데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화는 손 수와 말씀 화로 되어있다. 언어라는 의미를 전달하는데 미흡하다”며 “(수화는) 하나의 언어라기보다 손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행위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언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수화언어’라는 용어가 옳지만, 너무 기니까 ‘수어’로 사용하는 게 맞다”고 제언했다.

또한 “‘수화’라는 용어를 폐기하는 것은 솔직히 아깝다. 어휘의 의미로, 아니면 손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동작의 의미로 ‘수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되, 언어의 의미를 나타날 때는 ‘수어’로 하는 게 정확한 용어 정립을 위해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이준우 원장도 “대체적으로 수화 수어 논쟁은 언어적인 성격을 강조하느냐, 전통적인 것을 강조 하는거냐의 핵심”이라며 “관습도 무시할 수 없다. 법적용어는 ‘수화언어’로 사용하는 게 맞다. 줄여서 수어로 쓰는 것은 괜찮겠지만, 원칙적으로는 수화언어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윤석민 교수는 농사회 용어 선정은 정체성을 정확하게 드러내면서 사회적으로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용어가 옳다며 ‘수화’의 손을 들었다.

윤 교수는 “수화는 상대적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돼 왔고 그만큼 농사회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으므로 더 타당하다. 수어의 경우는 사용 영역이 주로 학술적인 분야로 제한적이며, 익숙도도 떨어진다”며 “일반적인 용어는 수화가 더 좋다”고 말했다.

이어 “수어를 선택한 농인들이 많은데 이는 농사회에 관심을 가진 20~30대 농인들의 표현이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많은 한국인들은 수화라는 표현이 익숙하다”며 “수화를 배운다고 하지, 수어를 배운다고 말하지 않는다. 역시 수화가 수어보다 익숙하기에 수화라는 말이 맞다”고 강조했다.

명성교회 농아부 손원재 목사도 “수어는 제한돼있다. 폭이 좁게 보인다”면서 “반면, 예술계, 사회 전반적인 다 통달해서 다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포함돼있는 수화의 개념이다. 익숙하고 가장 잘 사용하는 빈도수가 높은, 사회적 통념이 들어간 수화가 좋다”고 말했다.

한편, 농아인협회는 토론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종합해 수화기본법안을 포함한 공식문서 및 자격시험 등에 반영할 계획이며, 오는 18일 수화기본법 제정 공청회를 통해 수화기본법의 기틀을 다질 예정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