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인으로 나선 시각
장애인 오규준 씨는 “글씨를 보지 못해서 활동지원사와 기표소에 들어가려고 하니, 직원이 활동지원사를 막았다. 도움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는데도 계속 막았다”면서 “결국 직원과 함께 기표소에 들어갔고,
점자를 모른다는 저에게 ‘시각
장애인이
점자를 모르면 어떻게 해야 하냐’면서 도리어 묻는 등 방법을 찾는다면서 20분 동안 계속 기다리게 했다”고 토로했다.
공직선거법 157조에는 ‘시각 또는 신체의 장애로 인하여 자신이 기표할 수 없는 선거인은 그 가족 또는 본인이 지명한 2인을 동반하여 투표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고 나와있다. 시각장애를 가진 오 씨는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에도
참정권 침해를 당한 것.
오 씨는 “이런 상태에서 투표하고 싶지 않다. 시각
장애인도 직접선거가 될 수 있도록 개선해달라”고 힘주어 말했다.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 문원정 씨는 공보물, 토론회 등 정보 접근부터, 사전투표소에서의 편의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문 씨는 “사전투표소 줄을 섰는데, 누군가가 와서 마스크를 낀 채 이야기하는데 입 모양을 하나도 몰라서 알아듣지 못했다. 우여곡절 끝에 투표장에 와서 주민등록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잘 안 들리니, 마스크를 벗고 입 모양을 보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절대 안 된다’면서 거절당했다. 그래서 ‘적어달라’고 했는데, 그 소통도 되지 않아 서로 쳐다만 보고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 토론회나 공보물을 통해 후보자들을 파악해야 하지만, 토론회 시 한 명의
수어통역사가 전담하기 때문에. 누가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공보물 또한 수어 영상이나 쉬운 문장으로 만들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