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등법원 제26민사부(서경환 부장판사)가 지난 5일 경기도 2층 광역버스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공간이 없다며 K운수회사를 대상으로 낸 장애인 차별구제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앞서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는 지난해 5월 ‘K운수회사에서 운행하는 경기도 2층 광역버스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에서 정한 휠체어 전용공간 규격을 위반했으며, 이로 인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원고 A씨가 차별을 받았다’는 내용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1심 판결에서는 “2층 버스는 저상버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전용공간 확보 의무가 없다며 운수회사에 손을 들어줬다.

“해당 버스가 국내 최초로 도입된 1단계 2층 광역버스로서 2단계 광역버스에서는 휠체어 전용공간을 공간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고에게 정당한 사유가 인정된다”는 점도 들었다.

하지만 2심 판결에서는 ‘해당 버스는 휠체어 승강설비가 설치된 버스로, 저상버스 또는 저상버스 표준모델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교통약자법의 이동편의시설을 설치해야하는 대상시설에 해당된다‘고 연구소의 손을 들었다.

이에 법 규정에 따라 전용공간 길이 1.3미터 이상, 폭 0.75미터 이상을 확보하라는 시정조치 명령과 함께 A씨에게 손해배상금 30만원 지급을 명령했다,

이 소송에서 주요 쟁점이 됐던 사항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차법)에 따른 차별행위의 인정여부 ▲사건 해당 버스가 교통약자법 시행령 별표2의 이동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에 해당되는지 여부 ▲휠체어 전용공간의 길이와 폭의 기준 방향 ▲버스의 횡방향으로 안착한 휠체어의 안전성 ▲통로공간을 휠체어 전용공간에 포함할 것인지 여부 등이었다.

2심 재판부는 이러한 쟁점 사항에 대해 ▲해당 버스는 휠체어 승강설비가 설치된 버스로, 휠체어 전용공간 확보의무가 있고 길이는 버스의 긴 면, 폭은 짧은 면을 기준으로 봐야한다고 판결했다.

또한 원고가 일반 승객들과 다르게 정면이 아닌 측면을 바라보고 착석해야 하는 구조상 상당한 모멸감, 불쾌감, 소외감을 느낄 수 있고, 안전상으로도 상대적으로 사고 위험이 높으며, 통로는 승하차를 위한 공간으로 휠체어 사용자 전용공간과 겹쳐 사용해서는 안된다‘ 는 전향적인 판결을 내렸다.

특히 2심 재판부는 “버스의 휠체어 전용공간 확보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대상이 되는 버스의 법적 의무이자, 장애인의 정당한 법적 권리의 실현”이라며 피고가 장애인에 대해 특별한 시혜를 베푸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판결은 법원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48조에 따른 구제조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적극적 시정조치 판결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장애인 인권보장에 기여하는 파급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환영의 입장을 표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