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개인 방역 교육”, “언택트화 선제적 대응”이 같은 자료를 분석한 배재대학교 복지신학과
정지웅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장애인 노동정책으로 ▲일터 방역 및
장애인 개인 방역 필요 ▲디지털화, 언택트화 흐름 선제적 대응 ▲생태 경제화 흐름 선제적 대응 등을 제언했다.
정 교수는 “
장애인이 작업 공간 중, 특히 발달
장애인 등이 일하는 보호작업장 등은
코로나19가 발생했다고 무조건 시설을 폐쇄하기보다는, 철저한 방역하에
장애인 근로자들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손 씻기, 마스크 쓰기 등 기초적인 개인 방역 준수가 어려운 발달
장애인, 중증신체
장애인 노동자에게는 방역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자료 등이 개발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디지털화, 언택트화는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정보접근권이 보장되지 못한다면
장애인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노동에 가장 취약한 집단이 될 위험이 있다”면서 “
장애인 대상 디지털 문명에 대한 이해 교육, ICT 교육과 디지털 플랫폼 산업 이해 교육을 강화하고, IT기기와 보조공학기기 등에 대한 지원이 이뤄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아세안 NGO “고용 정책 마련” 선언이날 한국
장애인연맹 등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NGO단체는 ‘
서울선언문’을 채택, 각국의 정부에
장애인 고용과 노동 환경 개선 노력을 압박했다.
이들은 “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은 각국의
장애인에게 경제․사회면에서 불균형적 상황을 초래하게 됐다.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소외가
코로나19로 인해 악화하는 현실에 직면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면서 “차별적인 환자 분류, 경제활동 위축으로 인한 해고와
고용 사각지대의 증대 등
장애인은
코로나19의 영향을 더 심각하게 경험해오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에 “즉각적인 증거 수집, 검토 및 공동의 대응을 통해 한-
아세안 장애계간의 국제적 연대체 의식 함양과 정책 제언 및 인권 모니터링을 통한 국내의
장애인 노동권 증진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라”면서 “한-
아세안 국가들은 장애 포괄적인 대응을 위한 정부차원의 실행 전략들을 즉각적으로 수립하고 정책을 이행하라”고 피력했다.
또한 이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
아세안지역의
장애인과
장애인단체가 더 이상 소외되지 않고, 지역사회 안에서 장애 포괄적인 삶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애인이 자립생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현장 정보와 적용 기술 및 지원을 확대하라”면서 “
고용 노동시장에서 소득 창출을 위한 평등한 기회보장과
장애인 당사자 입장이 수용될 수 있는 사회보장 체계 구축 및
장애인 고용제도를 의무화하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한-
아세안 각국의 NGO는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장애인 고용과 노동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함께 진행할 것이며 국가별 장애 포괄적인
장애인 노동과
고용의 실행을 통해 전세계
장애인의 노동권이 증진과 빈곤해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상호 국제협력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