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당사자주의에 대해 집중 점검하고 있는 계간지 장애와 사회 2호.

“장애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주체가 장애가 있고 없음은 사실상 무의미해야 옳다. 인간을 위한 보편적인 기준만 있으면 사실상 문제가 발생하지도 않을 것이며, 문제 해결에도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이렇게 너무도 당연한 내용이 장애인 운동의 핵심과제가 되고 있는가?”

계간지 ‘장애와 사회’ 이성규(서울시립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편집위원은 2호 머리글에서 장애인당사자주의가 장애인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지 근원적인 물음을 던졌다. ‘조화로운 당사자주의를 꿈꾸며’란 제목이 붙여진 이 글은 장애인당사자주의가 올해 장애인계의 뜨거운 감자였다는 것을 짐작케 하고 있다.

최근 발간된 장애와 사회 2호는 올해 분분했던 장애인당사자주의 논란에 대해 특집으로 다뤄, 장애인당사자주의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연세대 이익섭(한국DPI 회장) 교수가 ‘장애인 당사자주의와 장애인 인권운동의 배경과 철학’을 주제로 글을 열었으며, 나사렛대 조성열(인간재활학과) 교수가 ‘바람직한 장애인 당사자주의를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논의를 확대시켰다.

특히 이 교수가 공급자 중심적인 장애인복지를 변화시키기 위해 장애인당사자주의가 조속히 정착해야한다고 강조한 반면, 조 교수는 무조건적인 장애인당사자주의는 오히려 장애인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또한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사무국장으로 일하다 최근 한국장애인접근성연구센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서인환씨가 ‘미국재활법에 나타난 당사자주의’를 점검했다. 한림대 사회복지대학원 외래교수이자 국가 과학기술문화창달계획 실무위원인 김종석씨는 ‘문화로서의 당사자주의’에 대해 파고들었다.

장애인당사자주의란 장애인당사자와 장애인전문가들에게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장애인당사자주의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정립될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장애와 사회 2호는 해결해주고 있다. <도서출판 우경서원/값 8천원>.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