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 부모 2명 중 1명이 우울증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발달장애인 보호자 및 당사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발달장애인 실태조사'를 지난 6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지난해 10월 17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 달간 발달장애인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발달장애인 현황 및 복지욕구에 대해 알아보고, 발달장애인 및 보호자의 일상생활 실태 및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발달장애인이 21.6%가 타 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8.5%)보다 화장실 사용, 식사 등 가장 기본적인 일상생활도 스스로 하지 못하고 있었다.

18~29세 발달장애인 중 49.8%는 최소 1개 이상의 새로운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나타냈다. 신체적·정신적 문제에는 비만, 기억력 감퇴, 자해 행동증가, 공격적 행동 증가 등이 해당된다.

발달장애인의 68.8%는 부모가 돌보고 있었고 식사 및 배변처리, 세면, 옷 입기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돌보는 것에만 하루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는 개인생활 영위가 곤란하고, 양육·보호로 인해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는 등 많은 희생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복응답자의 85.8%는 ‘장애인 돌봄 부담 없는 휴가 경험은 없었다’, 41.8%는 ‘여가 등 개인생활을 영위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44.3%는 발달장애인으로 인해 보호자의 직장생활에 영향을 받은 적이 있고, 42.7%는 발달장애인(자녀)으로 인해 ‘부모의 상(喪)이나 형제결혼식 등 꼭 가야할 집안모임에 가지 못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발달장애인 보호자 52%는 다수의 우울증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우울지수 평균 19.43(16이상인 경우 우울증 의심)으로 일반 국민(5.03)이나 저소득층(11.92)보다 크게 높았다.

만 3세 이전에 장애를 의심한 부모는 42.3%인 반면, 최종진단을 받은 부모는 10.4%인 것으로 조사돼 ‘발달장애’ 최초 의심 시기는 빠르나 최종진단과는 시차가 존재했다. 이는 의심은 했지만, 진단으로까지 이어지는 비율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유로는 ‘치료하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서’가 39%, ‘어떻게 할지 몰라서’가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의원이나 복지관, 바우처 지원을 통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은 68.8%로 실제 정신과나, 소아과·내과, 치과 순으로 의료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반면 65.4%는 치과검사 및 치료의 경우 ‘비용부담으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발달장애인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는 소득보장 30.6%, 재활치료지원 16%, 부모사후 생활보장 13.6%, 보육·교육시설 확대 9.8% 등의 순으로 손꼽았다.

발달장애 아동 중 87.6%는 보육시설(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있었는데, 이중 81.1%는 이유로 ‘장애로 적응이 어려울 것 같아서’라고 들었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경우 16.5%만 취업을 한 상태였고, 이중 보호고용이 54.4%로 절반 이상으로 전체장애인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고 제조 관련 단순 직종에 집중돼 있었다.

22.5%는 년 1회 이상 신체적·정신적 폭력을 경험한 적 있었지만, 88%가 공공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

59.1%는 형사·사법과정에서 발달장애인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32.5%)’, ‘도와줄 전문가 배치(29.1%)’, ‘발달장애인 지원을 위한 시설물·소프트웨어 구비(27.1%)’를 꼽았다.

이 밖에도 발달장애인 보호자 85%는 성년후견제에 대해 비용을 부담스러워했고 사회적인 준비 불충분(79%), 후견인의 신뢰성(75%) 등을 걱정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