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3일은 세계장애인의 날이다. 지난 91년 UN이 제47차 총회에서 장애인복지를 위한 세계행동계획을 결의하며 장애인의 인권보호를 위해 세계가 뜻을 모으자는데 동의하고 UN은 93년 12월 3일을 세계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기념하기로 한 것이다.

우리 나라도 지난 81년 세계장애인의 해와 더불어 4월 20일 장애인 날을 선포하고 기념하는 등 장애인복지에 기여해 온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복지법을 제정하고 장애인고용촉진법, 편의증진법을 제정하는 등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도입을 계속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아직도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중증의 장애인과 도서벽지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은 아직도 생활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꾸준히 늘리고 대학의 문호도 특례입학을 통해 크게 개방했으나 장애학생들을 위한 지원제도가 준비되지 못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장애인들은 만성적인 실업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근로자를 위한 획기적인 대안이 시급한 상태에 있음에도 뚜렷한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는 19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각 대선주자들은 장애인복지와 관련하여 장미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선거때마다 속고 속이는 웃지 못할 헤프닝이 되풀이되고 있으나 후보자들이 제시하는 장애인복지 공약을 기대하고 있으며 또 장애계와 장애인유권자들도 지키지 못할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약속을 촉구하고 있다.

유력한 대선 주자들이 내놓은 공약가운데 눈에 띄는 대목은 ▲장애연금도입 ▲장애인고용대책 수립, ▲이동권보장대책 ▲장애인 수당 현실화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등 장애인들에게 시급하고 절실한 과제를 한꺼번에 쏟아 놨다.

물론 이러한 공약들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에도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고 믿는 장애인은 드물지만 장애인들이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고무적이다. 사실 지난 김대중 정부가 취임하고 국민과의 대화에서 에바다 문제의 해결을 약속했지만 임기를 다 해가는 이시간까지 해결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는 답답한 사건들도 있었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들이 약속한 공약에 대해서는 집권한 후에 풀어버려야 할 숙제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지 접근할 것이며 장애인들이 약속 이행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서 장애인복지를 한걸음 앞당기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