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은연중에 장애인을 ‘장애우’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는 장애인을 더욱 친근하고 인간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장애우’라는 표현은 장애인을 비주체적이고 비사회적인 인간으로 형상화하고 구조화하는 단어다.

일반적으로 사회집단 또는 계급·계층을 표현하는 개념이나 단어는 1인칭, 2인칭, 3인칭 모두가 가능한 표현을 쓴다. 예를들어 노동자나 여성의 경우,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도 노동자, 여성이란 표현을 쓸 수 있다. 그런데 ‘장애우’는 타인이 나(장애인)를 지칭하거나 부를때만 가능한 것이지, 내가 나를 지칭할 때는 쓸 수 없는 용어다. 즉, ‘장애우’란 표현은 장애인을 사회집단, 계층이 아닌 비사회적인 집단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장애우라는 표현은 장애인 스스로가 자신을 지칭할 수 없기 때문에 비주체적인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한다. 특정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단어는 그 집단의 정체성을 표현함과 동시에 주체적인 의식을 표현하는 것인데, 스스로가 자신을 지칭하지 못하는 것은 주체적인 자신의 정체성을 거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일부에서는 “‘장애우’라는 부드러운 표현이 장애인들에게 편하게 다가갈 수 있지 않느냐”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사회적이고 비주체적인, 그리고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부정하는 용어를 써가면서까지 ‘장애인들에게 편하게 다가 갈 수 있는’ 표현을 고집한다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장애인을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또 일부에서는 “어떤 표현을 쓰든 자신의 취향에 맞게 쓰면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단어는 그 집단의 사회적 관계와 위치를 반영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확대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는 일부 장애인단체도 그들의 이름에 ‘장애우’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아이러니다. 장애인을 비주체적인 인간으로 표현하고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만드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어떻게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확대할 것인가

이제는 장애인의 사회성과 주체성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는 정치, 문화, 사회, 경제 등 모든 영역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사회적 관계, 집단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단어에서도 시작되어야 한다. ‘불구자’에서 ‘장애인’으로 바꾸어 나갔던 경험을 다시 곱씹어 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