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애인 단체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운영난에 시달리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지난 15일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 등록된 장애인 단체는 시·군 등록 단체까지 합하면 150~200여 곳으로 추정되며,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해 등록을 하지 못한 단체까지 더하면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

현재 비 등록 단체들은 정확한 실태 조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몇 개소가 있는지 조차 추측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이들은 사업비는 커녕 운영비마저 부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 17일 도내 시·군 자료로 장애인단체 운영비 지원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주시의 경우 장애인 단체에 지원하는 운영비는 모두 1억9660만원으로 5개 단체 정도만이 1400~2000만원 가량의 보조금을 지원 받을 뿐 나머지 단체는 각각 225~500만원에 불과했다.

익산시는 장애인단체지원 예산 1억5700만원 중 7개 단체에 4100여만원, 군산시는 1억9240만원 중 10여개 단체에 4200만원, 김제시는 1억400만원 중 6개 단체에 2500만원을 운영비로 각각 지원한다. 반면 정읍시와 남원시는 각각 5400만원, 2300만원의 장애인단체지원 예산이 책정돼 있었지만 운영비 지원은 없었다.

부안군은 장애인단체지원 예산 1억9700만원 중 7개 단체에 7901만원, 완주군은 9900만원 중 4개 단체에 1800여만원, 순창군은 1억5700만원 중 장애인연합회 운영경비로 3000여만원, 진안군은 2800만원 중 1개 단체에 960만원, 고창군은 4개 단체에 100만원씩 총 400만원을 운영비로 지원한다.

이들 중 대부분의 단체는 지자체로부터 운영비나 보조금을 지원받는 몇몇 소수의 단체를 제외하고, 도·시·군에서 운영 보조금을 지원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나마 도·시·군에서 사업비 명목으로 받는 지원금을 단체들조차 “단체를 유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액수”라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일부 장애인 단체는 장애인편의시설을 설치할시 자비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장애인부모회 임예정 회장은 “건물이 비좁아 확장하고 싶어도 운영비도 없는 판에 도리가 없다. 임대료도 내기 힘든 상황”이라며 “장애인들에게 정보를 전하고 삶의 의지를 심어주고 싶어 활동을 하고 있지만 월급을 받는 것도 아니고 집을 팔아서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군산시 척수장애인협회 윤형진 소장은 “수많은 장애인단체가 난립해 있는 지금 단체가 지자체의 보조금에 많은 의존으로 운영을 해 나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지자체는 운영비를 지원하는 방법보다는 스스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안을 창출할 수 있도록 장비구입 등의 현실적인 예산지원을 해야하고, 단체 역시 이를 통해 운영비 정도는 스스로 충당해 나가는 발전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시·군에서는 장애인 단체가 중복성을 띄고 분산돼있어 이들을 모두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김제시 주민복지과 관계자는 “장애인단체에 편의시설 구입비등으로 예산을 집행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타 단체와의 형평성문제로 어느 단체에만 특별히 지원해 주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조심스러운 부문도 있다”면서 “현 시점에서는 예산 삭감 등의 여파로 인해 수많은 장애인 단체를 지원하기엔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전주시 시민생활복지과 관계자는 “장애인 단체는 사단법인으로 회원들의 회비 및 후원금 등으로 운영이 이루어지며 공공의 목적과 단체의 장애인복지향상·자립을 돕기 위해 장애인복지법 제63조의 규정에 따라 사업예산 등을 자치단체에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도에 등록된 단체에도 중복성을 띄는 경우가 많아 이 모든 단체를 지원할 여건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북장애인신문 조나라 기자/에이블뉴스 제휴사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