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도시지역 장애인주택개조 시범사업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인순 편의증진팀장. ⓒ에이블뉴스

“농어촌 장애인의 주거공간과는 다소 다른 특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던 도시 장애인 주거공간도 매우 열악한 것으로 파악됐다. 향후 장애인 주거환경 개선사업은 농촌, 도시를 떠나 지속적으로 확대돼야 할 것이다.”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인순 편의증진팀장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도시지역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시범사업 세미나’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지난해 보건복지가족부와 대한주택공사의 지원을 받아 도시지역 장애인 주택개조 시범사업을 시행한 한국장애인개발원은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 이정선 의원, 민주당 박은수 의원, 친박연대 정하균 의원, 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세미나에서 2008년 도시지역 장애인주택개조 시범사업의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그동안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했던 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의 제외 지역이었던 서울과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도시지역 장애인 주택개조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대상자 선정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시와 부산광역시의 장애인 주택개조 담당공무원의 협조를 받아 예비대상가구를 통보받은 후 2차례에 걸친 대상가구 선정회의와 4차례에 걸친 현장방문을 통해 서울 12가구, 부산 8가구 등 총 20가구를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된 가구들의 주택개조는 거주 장애인의 장애유형 및 사용자 욕구 등을 고려한 맞춤형 개조를 중점으로 비용은 절감하면서 이용의 효율성은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이번 사업에 대해 김 팀장은 “많은 사람들의 힘을 모아 가능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했으며, 특히 중점을 둔 것은 장애의 유형에 맞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이었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위생적인 부분도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팀장은 “20가구 대부분 기존의 주거환경은 장애유형상 주거생활에 필요한 부분이 전혀 고려돼 있지 않아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쾌적하지 못한 생활환경도 상당부분 문제가 됐다”며 “주거생활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장애인의 주거 공간은 위생적으로 위협받고 있고 불편함을 넘어 생활이 불가한 정도의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김 팀장은 장애인 주거환경 개선사업은 지역 구분 없이 전반적으로 수행돼야 하며 주거환경 개선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주거생활을 하는 방식에 따른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이어야 하며 보조기구의 지원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장애인 주거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방향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김 팀장은 “정부와 민간 등 여러 곳에서 현재 주거환경 개선 지원사업들을 진행하고 있지만 주거환경 개선 지원사업이 모두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에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생각해봐야 하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며 “모두가 조금만 더 관심을 갖는다면 좀 더 나은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며 많은 분들이 보다 낳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