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45.1%로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나 수검률 향상과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지난 13일 ‘
NMHC 정신건강동향 vol.11(2019년 8월)
정신장애인의 건강’을 발간했다.
정신건강동향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국립재활원에서 발표한 ‘2016년도 장애와 건강통계’, 보도 자료를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 및 판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정신장애인 일반건강검진의 경우 검진대상자 37,353명 중 17,230명(46.1%)만이 건강검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비장애인 74.1%보다 28.0%p, 전체장애인 수검률 64.8% 보다 18.7%p 낮은 수치이며 15가지 장애유형 중에서도 두 번째로 가장 낮았다.
정신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1차 판정결과 정상A 4.0%, 정상B 27.8%, 질환의심 43.9.%, 유질환자 24.3%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상(A+B)판정 비율 31.9%는 비장애인 42.5%에 비해 10.6%p(1.3배) 낮고, 유질환자 및 질환의심자의 비율 68.2%는 비장애인 57.5%에 비해 10.7%p(1.2배) 높았다.
만 40세와 만 66세 대상으로 실시하는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률의 경우 47.9%로 비장애인 75.5%보다 27.6%p, 전체장애인 수검률 69.3% 보다 21.4%p 낮았다.
암 검진(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37.3%만이 검진함으로써 비장애인 보다 11.6%p, 구강검진 역시 15.4%로 비장애인 31.7%보다 16.3%p 낮았다.
구강검진 수검자의 검진결과, 정상(A+B)은 18.1%인 반면 주의 및 치료필요는 81.9%였다. 치료가 필요한 비율은 15가지 장애유형 중 가장 높은 수치로 구강질환에 특히 취약했다.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정신장애인이 건강검진을 받지 못한 이유로 “별다른 증상이 없고 건강하다고 생각해서”가 49.4%로 가장 높았으며, “검진결과에 대한 불안감(이상소견) 때문에”가 9.5%, “검진기관까지의 이동하는 것이 불편해서”가 7.3% 순이었다.
이처럼
정신장애인의 경우 질환의 특성상 의료 및 건강 관련 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클 수밖에 없으나 건강검진 수검률은 최하위권이며, 검진판정 및 종합소견 현황에서 유질환자 및 질환의심 수치가 현저히 높다.
정신장애인의 높은 의료보장욕구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건강관리에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신건강동향에서는 “
정신장애인의 건강관리는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고 기능회복과 조기 사회복귀를 유도함으로써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이라며 “일상적 건강관리 프로그램 도입 및 찾아가는 건강검진 등 물리적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 뿐 아니라 의료인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향상 등 문화적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건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은
정신장애인 스스로 자신의 건강수준을 이해하게 하고,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습득하게 함으로서 자기관리를 통한 신체 및 정신의 조화로운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
정신장애인의 수검률 향상과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