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계-학계 “적극 지지”, 당사자 우선 고려장애인복지관의
변화 움직임에 장애계와 학계 모두 적극 지지했다. 연구의 핵심인 ‘사람중심·
사회모델·지역사회 접근’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용자인 당사자가 우선으로 고려돼야 하며, 장애인복지 생태계에 필요한 재학습도 필요하다는 것.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권재현 사무차장은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람중심,
사회모델, 지역사회 접근의 방법론은 장애인권리보장법과 맞닿아 있다”면서 “이용자인 장애인당사자의 의견수렴과 참여보장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동참을 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또한 개인의 선택권 강화, 참여보장을 위한 기관의 유연화 역시 필요하다면서, 기관의 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시행 근거와 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권 사무차장은 “장애인당사자와 장애인단체가
변화를 요구해왔듯
장애인복지관 역시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발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온 만큼, 지역사회 서비스제공기관으로서 패러다임 전환의 길 위에서 멈추지 말고 계속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미옥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미래
변화에 직면해
장애인복지관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거시와 미시를 넘나들며 논의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지지하며 의견을 보탰다.
김 교수는 구체적으로 사람중심․
사회모델․지역사회 접근은 매우 적절하지만,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정책과 실천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가 향후
장애인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 및 혁신에 중요한 전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치 측면의 전환을 위해서는 단순히 복지관 종사자에 국한하지 않고 당사자와 가족들, 지역사회주민 등을 모두 포함돼 고려돼야 하며, 장애인복지 생태계에 필요한 재학습도 함께 이뤄져야 함을 제언했다.
김 교수는 “창의적 실천을 해야 한다”면서 지원방식 혁신 및 개발, 개인별지원게힉 수립에 대한 전문성 확보, 장애인복지 지향성에 대한 이해 확산 등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 김종구 사무관은 "내부에서 능동적으로
변화에 대해서 연구해오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
장애인복지관 사업안내에 반영 요구에 대해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