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저소득층·장애인 ·노인 등 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일반인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외계층이 경제적 사정과 세대 차 등으로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못해 모바일 정보화 수준이 낮은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작년 10월부터 3개월간 한국정보화진흥원과 공동으로 일반국민 5천500명, 소외계층 1만2천명 등 총 1만7천500명을 대상으로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소외계층 표본은 이른바 '4대 소외계층'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 농어민 각 2천700명, '신소외계층'인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자 각 600명으로 구성됐다.

미래부가 PC와 모바일 융합 환경에서의 새로운 정보격차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차세대 정책지표인 '스마트 격차지수(신 정보격차지수)'를 시범 산출한 결과, 작년 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전체 국민의 47.5%에 불과했다.

이는 소외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낮아 모바일 정보격차가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작년 소외계층 스마트폰 보유율은 42.8%로 전년보다 21.1%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체 국민(74.3%)보다는 31.5%포인트 낮다.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전체 국민의 42.9%로 전년보다 15.1%포인트 높아졌지만 PC 기반 정보화 수준에 비하면 32.3% 낮은 수준이다.

PC 기반 정보화 수준은 전체 국민의 75.2%로 전년대비 1.2%포인트 향상됐으며 측정을 시작한 2004년(45.0%)보다는 30.2%포인트 올랐다.

소외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가구 PC 보유율은 각각 50.8%, 69.2%로 전년보다 각각 4.0%포인트, 0.5%포인트 상승해 일반 국민과의 격차가 매년 감소하고 있다.

미래부는 올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스마트기기를 시범 보급하고 모바일 정보통신 보조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등 정보격차 발생의 핵심 요인인 모바일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이버 환경에서의 차별 없는 정보접근을 위해 접근성이 우수한 모바일 앱에 품질인증을 실시하고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접근성 진단,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소외계층 모바일 활용교육, 모바일(m.estudy.or.kr)을 통한 83개 과정의 정보화 교육을 제공하고 베이비붐 세대, 장노년층의 모바일 기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맞춤형 창업교육도 실시한다.

harrison@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