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장애인 당사자인 노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곽남희 활동가는 “시각
장애인 참정권이 보장되지 않아 불편함이 많다. 투표보조용구를 곧바로 배치하지 않아 기다려야 했고, 부모님과 함께 기표소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지난해부터 들어갈 수 없다며 다른 사람이 마구 데려가는 경우도 있었다”면서 “점자공보물의 경우도 후보마다 제각각으로 동등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올해부터는 선거법 개정으로 선거 정보 내용을 담은 USB가 제공됐는데, 의무화가 아니다보니 15명의 후보 중 4명의 후보 것만이 왔고, 어떤 것은 포맷해야 한다고 해서 했더니, 아무 내용이 없다. 동등한 정보 제공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피플퍼스트 문윤경 대표는 “발달
장애인도 18세가 넘으면 선거에 참여할 권리가 있지만, 선거날만 되면 괴롭다. 선거공보물의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투표용지 또한 숫자와 글씨로만 돼 있어 누구를 찍어야 할지 몰라 아무 곳에 찍게 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해하기 쉬운 선거공보물,
그림투표용지 제작 등을 통해 발달
장애인도 당당한 유권자로
참정권을 누릴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김성연 사무국장은 “매해 투표가 있을 때마다 같은 이야기를 외침에도 몇 년째 바뀌지 않는다. 공직선거법은 제자리며, 정당들은 자신들의 이익 위주로 판단하면서
장애인 투표권에 관심없는 현실”이라면서 “다음번에는 기자회견장이 아닌,
장애인도 원하는 장소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고 인증샷을 나눌 수 있도록 제대로 된 투표지원을 해달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