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 준사기, 장애인복지법 위반 등 일관성 없이 적용되는 법률장애인 노동력 착취 사건의 실체법적 문제점은 관련 규정 해석의 문제, 관련 규정 적용의 문제, 양형상 문제, 장애 인지적 관점의 부재,
장애인 대상범죄의 통계 부재 등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10건의 사례 중에서 6건(흑산도, 야구장 형, 후견인 노예, 모녀, 대구
노동력 착취, 곡성 품앗이)은 검사가 불기소했고, 2건(사찰, 야구장 업주)은 불구속기소를 했으며 1건(염전노예)은 구속기소를 했다.
사례의 관련 법률규정 적용 문제에 대해 살펴보면
노동력 착취 사건은 피해자 장애와 취약성을 이용해 대가를 지급하지 않은 유사한 사건이지만 이를 임금체불 문제로 보기도 하고 준사기나
장애인복지법위반,
장애인차별금지법위반으로 보기도 하는 등 일관성 없이 법률이 적용됐다.
또한 장애의 특수성 고려하지 않은 법률 적용, 관련 법률 규정의 단편적 적용, 장애 관련 범죄의 소극적 적용, 금전적 착취에 대해 단순 임금체불 관련 법령을 적용, 유기죄나 방임죄의 소극적 적용 등 문제가 있었다.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구체적인 사건을 수행하면서
장애인을 이해하려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장애인 대상 범죄에 관한 통계를 분석해 형사사법시스템을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처리한
장애인을 피해자로 한 사건에 대한 통계는 없다.
엄격하고 통일된 처벌 위한 장애인 노동착취행위 양형 개선 필요보고서는
장애인 노동력 착취 사건의 개선을 위해 실체법상과 수사절차상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실체법상 개선방안으로는 현재
장애인 범죄에 대한 처별 규정이 개별 법률에 산재 돼 있고
장애인 학대 관련 정의 등을 규정하는
장애인복지법도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어
장애인 대상 범죄에 대한 정의를 포함한
장애인 대상 범죄와 처벌 법규를 정리하고
장애인학대범죄처리에 대한 특례를 규정한 ‘
장애인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
또한
장애인 노동착취행위의 양형을 개선해
장애인학대 관련 범죄와 관련해 가해자에 대한 엄격하고도 통일된 처벌이 이뤄져야 하며 노동력착취사건의 경우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10년분의 임금만 배상액으로 지급되는 비상식적인 상황 개선을 제언했다.
수사절차상의 개선방안으로는 정당한 처벌을 위해
장애인복지법이나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적용해야 하며 수사기관 종사자는
장애인 노동력 착취사건의 특성을 이해해야 하며 국선변호사 및 진술조력인 제도 등 피해
장애인을 위한 제도를 확대하고 신뢰관계인 동석 등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것을 주문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