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 지원’→‘지역 화폐 제공한 선택권’ 변화함께가자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서혜영 소장은 사회복지 현실에 맞는 맞춤형 복지지원의 현실화를 강조했다.
서 소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인 ‘
비대면’에 맞춰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IL센터 평가 기준이나 사업에 대한 척도도 함께 바뀌어야 한다“면서 ”
장애인 가정 내의 교구 지원, 유튜브 등 온라인교육 활성화, 일대일 방문 프로그램 진행 인프라 구축, 가정방문 재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병원 방문이 힘든
장애인을 위한 방문재활치료 프로그램도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사회 경제살리기와 사회복지를 접목해야 한다며, 기존 ‘쌀과 라면’을 ‘도시락과 밑반찬, 배달 서비스’로. ‘물품 지원’을 ‘지역 화폐를 통한 지역사회 상권을 선택적 이용’으로 변화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성동느티나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고관철 소장은 IL센터의 과제로 ▲정신
장애인을 비롯한 생활시설 시설형태 전면 개편 ▲감염 예방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공적 돌봄 통한 활동지원 매칭 서비스 진행 ▲백신 및 치료제 개발 후
장애인 무료 제공 ▲중개기관 및 관리기관의 끊임없는 모니터링 시행 등을 제언하며, IL센터가
장애인이 가정에 있으므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의 문제들과 사태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하고, 직원 교육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 소장은 ”다양한
비대면 프로그램을 개발, 이용
장애인들이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에서도 의미 있는 시간들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제도적으로 필요한 부분들이 있다면,
장애인들의 권익옹호 차원에서 강력하게 정부나 지자체에 요구해 시정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맹 정중규 부회장은 IL센터가 지역사회 약자들과 연대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 부회장은 ”위기 발생 시
장애인 정보 전달 방안,
장애인 자가격리자 및 확진자에 대한 대책 수립, 활동지원사 교육과정에 감염병 대응 교육 의무화,
장애인 대처방법 교육, 장애학생과 가족에 대한 비상한 돌봄 대책 마련 등을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지역사회 약자들과 연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L센터가 연대작업을 펼치는 지역사회 거점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