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대구대학교 직업
재활학과
나운환 교수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기계와 인간의 경계선이 무너지고 있지만
장애인 입장에서는 멀었다"고 우려를 표했다.
나 교수는 "산업혁명 통해
장애인 입장에서 배리어프리 효과가 있지만 신체 내외부
장애인들에 대해서만 국한된다. 정신,
발달장애인들은 사회참여 기회가 더욱 제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나 교수는 "
장애인일자리는 산업화에 따라 별 변동이 없다. 4차 산업혁명이 온다면 일자리 감소보다는 직업의 형태가 변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신체내외부
장애인과 정신,
발달장애인의 격차가 심해질 것"이라며 "
기술만이 아니라 이중 노동시장 구조집단에 대한 차별에 대한 정책, 방법론적이 함께 가줘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장애인은 더욱 소외계층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가인권위원회 김원영 조사관은 “4차 산업혁명이 발전하면 시청각
장애인의 삶은 분명 개선될 것이지만 정신적
장애인들은 더욱 소외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 조사관은 “
장애인을 케어하는 휴머니드로봇이 활용된다면 인간적 갈등이 없고 안전하고 학대의 위험 없이 생활할 수 있지만 다른 인간과 대면 상호작용을 할 기회를 완전히 잃어버릴 수 있다.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아예
장애인들과의 대면상호작용에 나설 필요도, 관심도, 의지도 갖지 않게 될 것 같다”고 꼬집었다.
아무리 디지털된 자아로 의사소통을 많이 하더라도 홀로 대면상호작용으로부터 소외된 채 살아간다면 과거 거주시설에서만 살던 당시
장애인들의 삶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 김 조사관의 설명이다.
이어 김 조사관은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 사생활과 자율성이 크게 제약된다. 신체
장애인은 자신이화재의 위험 등을 감수하더라도 해당 정보의 전송을 의도적으로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사생활을 노출하지 않는 자기 시간을 가질 수 있지만 정신적
장애인은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으려 하거나, 성과 관련된 활동을 하거나 할 때 방지하고 통제하려는 부모나 사회의 압력이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를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