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장애인 욕구 및 실태조사’ 결과.ⓒ한국척수장애인협회

척수손상을 입은 척수장애인을 최대 20년까지 병원신세를 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척수장애인협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척수장애인 욕구 및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척수장애인의 실태와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2007년, 2012년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한 조사로, 14개시도 척수장애인 600명에 대한 방문 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월 4회 미만으로 외출(병원치료 제외)하는 척수장애인 213명을 조사대상에 포함시켜 척수장애인의 다양한 생활실태를 조사했다.

먼저 척수손상에 따른 입원치료 병원 수는 3.16곳으로, 많게는 14곳의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치료 기간은 평균 30개월로 많게는 20년까지 병원에 입원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척수손상 후 2~3개월의 급성기 치료가 끝나도 병원에 불필요하게 전전하며 사회복귀가 늦어지는 현상은 2007년부터 8년이 지난 시점에도 별반 개선되고 있지 않았다"며 "하루 빨리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병원 초기부터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도입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척수손상 후 68.8%가 자살 충동을 느껴봤으며, 자살 충동을 느낀 응답자 중 32%(115명)가 실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충동의 원인으로는 삶의 의욕 상실, 신체적 장애, 정신과적 증상, 경제적 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사고 이 후 장애 수용에 극심한 어려움을 표현하는 단적인 예로 병원 초기부터 삶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재활심리치료, 동료상담, 가족지원 서비스 지원 신설 및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척수손상 전‧후의 직업을 묻는 질문에 척수손상 전 14%가 ‘무직’이었지만 척수손상 후 는 응답자의 73%가 ‘무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척수장애인들이 직장생활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장애로 인해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 같아서’ 51.4%, ‘수급권자는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국가제도 때문에’ 14.2%, ‘일할 기회가 없어서’ 8.6%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사회에 대한 요구 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1순위로 소득보장(1087점), 2순위 의료보장(700점), 3순위 주거보장(328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소득보장의 빈도점수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무엇보다 척수손상 전의 원직장 복귀 등 직업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척수장애인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며 “손상 초기부터 직업재활상담을 통한 직업동기부여와 출‧퇴근 지원 서비스, 원직장의 물리적 환경개선, 보조기구 및 보조인력 지원 등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