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불 켜진 장애인건강=지난 2012년 새누리당
김정록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고혈압 질환의심율은 장애인 24.3%, 비장애인 9.5%였다. 당뇨병은 장애인 10.4%, 비장애인 3.8%였다.
체질량지수 비만율 역시 장애인이 42%로 비장애인 32.2%보다 높았으며, 복부비만율도 2배 이상 높았다.
그러나 통계로 끝이다. 장애인을 위한 건강문제의 심각성만 드러냈지, 누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책임을 질 사람이 없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의 이문희 사무차장의 경우, 평소 전동휠체어를 타고 다녀 비만에 속하지만, 운동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고 호소한 바 있다.
이는 이 사무차장의 개인적 이야기만이 아니다. 당사자 모두가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것, “장애인의 건강은 국가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저는 지체장애인인데 아파도 병원에 가지 않습니다. 제가 병원에 가려면 누군가가 저를 데리고 가야하고 이동에 제약이 많아요. 그리고 가족들도 웬만하면 참아주기를 바라는 눈치구요.”■이동권, 경제적…병원과 멀어질 수 밖에=장애인건강권 증진에 악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은 무엇일까. 먼저 경제적,
이동권 문제가 가장 눈에 띈다.
문정림 의원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밝혔던 내용에 따르면, 경제적인 이유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 한 비율이 장애인의 경우 58.8%인 것. 이는 비장애인의 비해 3배가 많은 결과다. 이어 불편한 교통편도 18.6%였다. 심지어 중증장애인 46.2%는 건강검진을 받은 적도 없었다.
교육 수준과도 연결 지을 수 있다. 장애인에게 있어서 의무교육도 받지 못한 무학 및 초등학교 학력의 비율은 44.7%에 달한다.
이는 전체인구 대비 2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특히 남성장애인의 고졸 이상 비율(45.7%)에 비해 여성장애인은 22%로 상당히 격차가 컸다. 이러한 비장애인과의 교육수준의 격차는 건강 격차를 발생시키고, 장애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예측할 수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좁은 공간과 쾌적하지 않은 주거 환경으로 인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족 간에 이뤄지는 사회적 지지가 약함으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도 장애계에서 나온 상황이다.
즉, 장애인의 건강은 사회적 책임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분석. 개인의 노력으로도 건강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국가의 개입이 절실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