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추련 박김영희 상임대표는 “많은 분들이 이제 주민센터에 경사로가 있어서 세상 좋아졌다고 하지만, 다른지역에 갔을 때는
장애인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었고, 인감 하나 떼기로 어려웠다”면서 “주민센터가 행복센터라고 이름을 바꿨지만, 여전히
장애인당사자 입장에서는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안 된다. 내동네에서만큼은 내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인권위
진정을 통해 빠르게 바꿔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시각장애가 있는 수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인의 활동가는 “
행정복지센터에 갔더니, 점자가 돼 있는 것이 전혀 없고, 있다해도 지워져서 읽을 수 없었다. 어느 사람이 시각
장애인이 될 수 있을지 모르고, 누가 방문을 할지 모르는 상황인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어떤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속히 개선해달라”고 피력했다.
노들
장애인야학 김명학 활동가도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는 지역 주민들이 가장 가깝게 이용하는 행정기관인데, 아직도 아예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주민센터가 많이 있다”면서 “많이 반성해서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그야말로 행복센터가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난 17일 ‘1회 중앙-지방정책협의회 협조안건’으로
행정복지센터 모니터링 결과를 상정, 지자체가 ‘실태조사를 통한
편의시설 점검, 현장에서 가능한 조치 시행, 예산이 수반하는 신축, 대수선은 장기적 개선 계획 수립’할 것을 논의. 현재 각 지자체 해당부서로 협조내용이 이관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