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는 27일 서울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혐오 현상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혐오표현 진단과 대안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에이블뉴스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혐오표현을 접했으며, 그 대상으로 장애인이 58.2%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은 언론과 정치인이 혐오표현을 조장한다고 평가, 모든 미디어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 및 포털사이트에서의 벌점 부과, 정부의 종합대책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모아졌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7일 서울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혐오 현상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혐오표현 진단과 대안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가인권위원회 혐오차별대응기획단 강문민서 단장이 27일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에이블뉴스

■국민 64.2% 혐오표현…장애인 대상 58.2%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3월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2%가 혐오표현을 접했다.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인식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의 청소년이 혐오표현을 경험했다.

혐오표현의 대상으로는 특정 지역 출신(74.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68.7%), 노인(67.8%), 성소수자(67.7%), 이주민(66%), 장애인(58.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 64.2%가 혐오표현을 경험했다.ⓒ국가인권위원회

연령별로는, 20대(80.7%), 30대(71.1%), 40대(63.6%) 등과 같이 연령이 낮을수록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혐오표현을 접할 수 있는 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들 상당수는 ‘문제가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 했지만, 직접적인 반대 의사 표현(41.9%)보다는 그냥 무시하거나(79.9%), 혐오표현 발생 장소나 사용자를 피하는(73.4%) 등 주로 소극적 방식으로 행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인식조사 속 실제로 혐오표현을 사용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인 9.3%, 청소년인식조사에서는 성인보다 두 배 이상 높은 4명 중 1명 정도였다.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과반수 정도가 혐오표현의 내용에 동의한다거나, 평소에 익숙하기 때문에 등이었다.

혐오표현 유형별 인식과 관련해 “장애인은 진짜 불쌍하다”는 편견 조장이 50.2%, “애자, 정신병자 같다. 왠지 다운증후군 느낌” 멸시·모욕이 52.1%, “장애인은 집에나 있어라” 차별·폭력 선동이 50.4% 등으로 장애와 관련된 대부분 항목에 대해 절반 이상이 혐오표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혐오표현 확산의 주된 원인에 대해서는 사회에 만연한 구조적 차별(77.4%), 가짜뉴스(72.3%), 일자리 등 경제적 어려움(68.8%) 등을 지목했다.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들은 언론, 정치인들이 혐오표현을 조장하는 부정적 역할을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국가인권위원회

■언론‧정치인 “혐오 조장”, 범죄 이어질 우려까지

이 같은 혐오표현 확산은 언론과 정치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 10명 중 6명인 58.8%가 국회의원 등 정치인이 혐오표현을 조장한다고 평가한 것. 혐오표현을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의견(3.8%) 보다 무려 1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정치인의 혐오표현 대상집단으로, 특정 지역 출신(70.6%), 여성(32.8%), 성소수자(22.4%), 이주민(22.1%) 등이다.

또 언론이 혐오표현을 조장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응답은 49.1%로, 혐오를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의견(11.3%)보다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언론의 주된 혐오표현 대상집단으로 특정지역출신자(50.9%), 여성(38%), 이주민(32.3%), 성소수자(24.8%) 등이다.

아울러 국민들은 혐오표현을 방치했을 때 향후 혐오표현이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81.8%), 사회갈등 심화(78.4%), 차별 고착(71.4%),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 위축(62.8%) 등을 우려했다.

혐오표현 대응정책으로는 언론의 혐오 조장 보도 자제를 87.2%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인식개선 교육과 캠페인(86.9%), 인권존중 학교교육 확대(86.5%) 등도 응답이 높았다.

이에 인권위 혐오차별 강문민서 대응기획단장은 혐오표현의 확산을 막기 위해 우선적으로 혐오표현의 공론화와 인식개선, 정부의 종합대책 수립‧실행, 자율규제 기반 조성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강문민서 단장은 “혐오표현이 무엇이고, 그 형태는 어떠한지, 혐오표현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면서 “인권위는 혐오표현 실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혐오표현의 개념과 문제점, 대응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보고서를 제작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이주민 등에 대한 정치인의 혐오표현은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혐오표현을 하는 사람의 사회적 영향력이 클수록 혐오표현의 해악성도 커진다“면서 ”정치인들이 혐오표현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자정 의지를 표명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강문민서 단장은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 수립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혐오표현 확산을 막고 대항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각종 조치를 개발하는 한편, 실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인권위는 범정부 차원의 혐오표현 종합대책 수립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은 미디어 속 혐오표현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혐오표현 예방?대응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에이블뉴스

■엄용수 장애인 비하 발언, 언론도 한 몫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은 미디어 속 혐오표현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혐오표현 예방‧대응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장애인 관련 미디어 속 혐오표현 사례로는 지난해 6월 14일 KBS 아침마당에 출연한 엄용수 씨의 부적절한 발언을 예시로 삼았다.

이 방송에 출연한 엄 씨는 대학 2학년 때 교통사고를 당해 엄지발가락을 잃어 6급장애인이라며, ‘장애가 있어서 성희롱을 할 수 없다’, ‘항공료 30% 할인을 받아 가만히 앉아서 1년에 1000만 원을 번다’ 등의 발언으로 논란이 됐다.

더 심각한 것은 이 방송 이후 언론들은 ‘코미디언 엄용수 “엄지발가락 잃어 6급장애인, 가만히 앉아 천만 원 번다”’ 등의 자극적인 제목을 뽑아낸 점.

김 사무처장은 “제목만 보면 6급 장애등급을 가진 이에게 국가가 천만 원의 비용을 보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낳을 수 있는 부적절한 제목뽑기”라며 “한 희극인이 방송에서 현실과 전혀 다른 내용을 한 농담조로 던졌다면, 차라리 보도를 하지 말던가, 보도를 한다면 제대로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생각 없는’ 보도가 남발될 경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조성할 소지가 크며, 그 자체가 언론의 폭력”이라며 “실제로 다음날 장애인단체가 장애인 비하 발언 등을 자행한 엄용수와 KBS를 상대로 공식 사과하라고 항의했고, 방송사에서 공식사과를 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2008년 8월 24일 방송된 KBS ‘개그콘서트’ 코너 속 ‘버전뉴스’ 출연자들은 뉴스를 진행하면서 말 중간에 “야야야야야야”라는 소리를 내거나, 턱을 부자연스럽게 움직이거나 등의 행동을 반복적으로 했다.

제작진은 “재미있는 버릇을 소재로 삼았는데 버릇과 '틱'의 경계가 모호해 확대해석 된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결코 틱 장애를 비하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해명했지만 재발방지와 함께 사과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이에 김 사무처장은 “우리사회에 혐오표현과 관련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혐오표현에 대한 모든 미디어 대상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수 있도록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서 혐오표현에 대한 벌점을 부과해서 언론사 스스로 노력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