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미루어두었던 신학기가 시작된다. 내일(9일)은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이, 20일에는 초등학교 1-3학이 온라인으로 개학한다. 그 외는 16일에 개학을 한다.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정부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원격수업의 10가지 실천수칙’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긴장감은 여전하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오늘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온라인 개학은 우리가 한 번도 걸어보지 않은 새로운 길” 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이러한 정부의 준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려의 목소리들도 있다. 현재 대학의 온라인 강의에서 드러나고 있는 과부하, 빈약한 콘텐츠 등이 초, 중, 고등학교 학습에서도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학생과 달리 학습 장비나 인터넷망이 부실한 학생도 많아 그런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런 우려 가운데에는 난청학생들의 문제도 있다. 현재 교육부나 시도 교육청에서 간과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난청이 심하지 않은 경우 학교 현장에서 특별 지원이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문제는 이러한 판단이 온라인상에서는 수업을 올바로 받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진행되는 온라인 강의에 난청 대학생들의 불만들이 많다. “원음이 작아 교수님 목소리를 듣지 못하겠다.”, “잘 듣지 못해서 답변 등 언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자막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자막이 있더라도 화면과 자막이 맞지 않아 내용 파악이 어렵다.” 등이다.

이는 초, 중, 고등학교의 난청 학생들도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초, 중, 고 난청학생들에 대한 온라인 학습지원 대책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수업내용이 잘 안 들리는 경우, 자막이나 수어통역을 지원받고 싶어도 지원받지 못하는 구조이다

교육부는 온라인 교육이 쉽지 않을 경우 대안으로 'EBS 온라인 클래스', ‘위두랑' 등 공적 콘텐츠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EBS 외에는 자막 등 지원 서비스가 많지 않다.

결국 난청학생들은 온라인 수업만이 아니라 교육 콘텐츠에서도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나 자방자치단체에서 소외계층에게 지원하는 것은 PC등 스마트기기나 인터넷 가입지원 등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교육권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교육받을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어야 한다. 그것도 양질의 교육, 올바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정부는 물론 시도 교육청은 난청학생들의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초, 중, 고 난청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속기 지원 등 대책을 마련되어야 한다.

2020년 4월 8일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에이블뉴스는 각 단체 및 기관에서 발표하는 성명과 논평, 기자회견문, 의견서 등을 원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재를 원하시는 곳은 에이블뉴스에 성명, 논평 등의 원문을 이메일(ablenews@ablenews.co.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