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고용에 대해 정부가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복지정책에서 그들이 얼마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로 갖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장애는 여러제도와 보조기구 등의 의학 발달로 극복되고 있고 그 극복되는 과정에서 한순간 사회 약자이기에 그들을 위한 제도적 편리성, 이동성만 보장되어도 남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살수 있는 장애인이 엄청 많을 것이다.

장애인이라고 해서 가만히 앉아서 복지만 바라고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많은 복지를 어떻게 이용하느냐를 따지기 전에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어떻게 극복하고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살아갈건지에 대해 처절한 투쟁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가 가만 있어도 먹고 살수 있는 복지사회가 아니다. 장애인도 자존심이 있고 무엇이든 해보고 싶은 것이 있어 어머니에게 업혀 일반 대학교까지도 다니며 많은 난관을 거쳐 무엇인가 배우려고 몸부림치고 있는 것이다.

나도 지체 1급의 장애로 두 클러치를 짚고 4층이라는 계단을 오르내리며 대학교까지 공부를 했고 다시 사회에 나가 3층정도의 계단을 힘들게 힘들게 오르내리며 평생일을 하고 살았다. 이동성과 편리에 너무 불편을 겪고 살았지만 나를 받아주는 곳이 있었고 기술에 맞는 급여를 주었다.

그들은 정부도 공공기관도, 기업도 아니었다. 평범한 우리 이웃이었다. 그들에게는 장애를 보지 않고 어떤 편견이나 선입관도 없이 기술과 능력만 보는 장애인에 대한 지극히 평범한 인식이 있었다.

나는 기초수급자가 되지 않기 위해, 가족의 생계를 위해 내몸이 다 망가지면서도 열심히 일하며 살아왔다. 남들은 이정도 급수의 장애인이면 나라에서 생계적인 어떤 해택을 받는 줄 알지만 나는 받는 것이라고는 통신, 차량구입, 고속도로 할인 등 한달에 채 5만원도 되지 않는 해택만도 만족하며 살았다.

먹고 살수만 있으면 우리 장애인들도 나라에 구차하게 무엇을 달라고 억지를 쓰지 않는다. 우리의 자존감은 어쩌면 비장애인들 보다 높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가 살아오며 느끼는 것은 장애인에게 무엇이 복지인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장애인에게 배움을 마음대로 가지게 하고 이동의 자유가 보장되면 이런 몇가지만으로도 장애인에 대한 고용에 대한 편견을 버릴수 있다.

시설에서 요구하는 일을 할 수도 없는 장애인을 억지로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 맡겨 일을 시키라는 사고방식으로 우리 장애인과 기업인 다같이 이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만 더 가중시키고 있다. 장애인 스스로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남녀 차별을 가지지 않듯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 없이 구인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먼저 장애인이 어떤방식으로도 공부하고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완벽한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특수학교나 일반학교, 직업학교 등 어디든 선택해서 갈수 있는 사회전반의 인식과 편의성,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면 일단 장애인은 비장애인처럼 더 열심해 배우려 할것이고 비장애인과도 많이 어울릴 것이다.

그런 환경의 여러분야에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능력의 자격요건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어느분야에서나 자연스럽게 일하는 장애인을 볼수 있어야 한다.

박사가 된 뒤 장애인이 되었든 장애인이 박사가 되려고 가는 과정이 모두 당연한 모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조차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지 못해 아직 이러한 고용률을 이루고 있으면서 민간단체에 과징금을 물리면서까지 고용률을 높여라 강요하는 것은 정말 말이 되지 않는 소리다.

어느분야든 그곳 고용인과 비슷하게 일할 수 있는 능력과 자격의 장애인이 아무 불편없이 일을 할 수 있게 장애인 당사자나 기업에게 지원하는 식의 방향으로 장애인 고용을 생각해야 한다.

장애인도 인지능력이 분명한 장애인은 차별 금지과 같은 제도적 장치와 이동성, 편리성에 더욱 확실한 보장으로 스스로 당당히 취업을 할수 있는 기회를 주고 정말 인지능력이 없는 중증장애인은 정부에서 그 가족들이나 센터, 복지관등 여러 정부 복지사업을 이용해 살아갈 수 있는 복지해택을 주어야 한다.

장애인 입장에서도 모든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비장애인처럼 여러 경쟁과 선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할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오히려 정부나 공공기관, 대기업과 같은 곳에서 생각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우리가 사는 이웃에서는 더 관대하고 이해의 폭이 넓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부가 많은 도움을 줄것이라는 어설픈 복지가 오히려 이웃의 외면과 무관심을 불러 장애인이 더 힘들게 사는 사회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의 인식이 확 바뀐 고용이야말로 생존권과 근로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공동책임을 통해 비장애인과의 고용평등을 추구함으로써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은 울산광역시에 사는 김희철 님이 보내왔습니다. 에이블뉴스 회원 가입을 하고, 취재팀(02-792-7166)으로 전화연락을 주시면 직접 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