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애인콜택시(이하
장콜)를 관리하는 서울시설공단(이하 공단)은 '2015년
장콜 운영지침'을 발표했다. 그중 가장 눈에 띄고 나를 비롯한
장콜 이용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운영지침이 바로 사전접수제를 없애고 ‘
즉시콜’의 전면 도입이다.
내년
즉시콜 시행에 대해 공단 측은 지난 9월 17일 내놓은 ‘장애인콜택시 기타 개선방향’이란 자료에서 사전접수는 고객이 필요한 시간보다 예측 대기시간을 포함, 1시간 전 차량을 신청하여 탑승을 지연시키거나 임의로 시간을 변경해서 실수요자(치료, 재활 등)
즉시콜 신청 시 장시간 대기(불편발생)하는 것에 대한 불편을 이유로
즉시콜 시행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이 얘기를 쉽게 풀어서 말하면
장콜 이용자가
장콜을 부를 때 약속시간보다 1시간 앞당겨 불러놓고 막상 제시간에 연결되면 다시 탑승시간을 늦춰서 급하게 병원 가서 치료 받아야 할 또 다른
장콜 이용자의
장콜 이용을 오래 기다리게 해서 불편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왜 나를 포함한
장콜 이용자들이 제시간에 접수를 안 하고 1시간씩 앞당겨 접수하는지, 그 이유를 알고 있는가? 약속시간을 지키기 위해서다.
병원 진료시간, 학교 수업시간, 모임의 약속시간 등 약속한 시간을 지키는 일이 장애인들에겐 그렇게나 힘든 일인가?
사전접수제는 그나마 자신이 탑승해 약속시간에 도착할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테면, 2시에 광화문에서 친구를 만나기로 했고 그 시간을 지키려면
장콜을 보통 1시간 전에 부른다. 그런데
장콜이 하도 잘 연결되지 않다보니 30분이고 1시간이고 미리 부르는 것이다. 특히 오후 5시대부터는 거의 제시간에 연결되지 않는다.
왜 그럴까? 공단은 서울시
장콜이 전체적으로 446대라고 밝혔다. 446대
장콜 중 350대 정도가 하루 동안 서울시내(서울 근접 수도권 포함)를 다니며 장애인들의 발이 되어 준단다. 그럼 이 350여대의
장콜이 하루 24시간 서울 시내를 돌아 다니냐? 그것도 아니다. 오후 5시~7시 사이에 이중 절반 정도가 퇴근하고, 7시~10시까지 야간조 9대가 투입되어 이 9대의
장콜이 밤과 새벽 시간을 커버한다.
350대의 반이면 170대 정도다. 이 시간대는 모두들 알다시피 퇴근시간대다. 또 5시부터 몇 대씩 차례대로 퇴근하고 밤 10시가 지날 무렵엔 적은 수의
장콜만 남아 운행한다. 각
장콜 마다 차고지가 따로 있다. 차고지는 서울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다.
장콜 기사님들은 퇴근시간이 다 되어 가면 자신이 운전하는
장콜의 차고지 방향으로 가는 이용자를 태우고 싶어 한다. 차고지 방향과 안 맞는 이용자를 콜센터로부터 연결 받게 되면 대부분 거부한다고 한다.
저녁 5시대부터
장콜이 줄어든다는 얘기가 된다. 그런데 그 시간대에 장애인들도 퇴근을 하거나 저녁에 하는 모임, 장애인야학에 가서 공부하는 장애인들도 상당수다.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장콜 대수와 그 시간대에 맞물려
장콜이 필요한 장애인들의 증가가 결국
장콜이 늦어지는 원인인데, 이런 원인을 놔두고
즉시콜로 변경하면 과연 해결이 될까? 혼란만 가중 될 것이다.
자 그럼 우리가 약속을 지키려면
즉시콜을 몇 시에 불러야 할까? 공단에 물어보자. 우리집은 월계동, 대학로에 있는 장애인야학에 6시까지 가야한다. 집에서 야학까지는 차로 30분 거리다.
즉시콜로
장콜을 몇 시에 불러야 수업에 늦지 않을 수 있을까?
장콜 대수가 매년 증가 되었고 접수 대기시간도 예전에 비해 짧아진 것도 사실이다. 예전엔 기본이 2시간~3시간 정도였는데 요즘은 1시간~2시간 내외로 짧아졌다. 사전접수든
즉시콜이든 기다리는 시간은 비슷하다.
자료를 보면 이런 수치가 나온다. 하루
장콜 이용 건수를 적어 놓은 건데 전체 접수 건수 중 사전접수 87%(2,698건),
즉시콜 9%(279건), 예약 4%(124건) 맨 뒤에 예약은 전일 예약인 듯하다.
즉
장콜 이용자의 대부분이 사전접수제를 선호하고 있다. 나 자신도 사전접수를 선호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즉시콜을 불러도
장콜이 ‘즉시’ 안 오기 때문이다. 사전접수는 적어도 10번 접수하면 최소한 5번 정도는 제시간에 가깝게 온다.
사전접수제는 최소한 기다림을 예측할 수 있다. 경험상 최소한 언제 사전접수해야 약속을 지킬 수 있다는 수치가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사전접수제를 선호한다.
약속시간 2시간 전,
장콜을 예약하지만 대부분 연결지연 문자가 먼저 온다. 5분 뒤 콜센터에서 전화가 오고 나는 콜센터 접수원에게 대기자가 몇 명 남았냐고 물어본다. 대기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기다림은 지속된다. 취소하는 이유도
장콜 연결이 하도 안 되기 때문에,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또는 약속시간이 한참 지나서 더 이상 갈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다시 묻겠다!
즉시콜로 약속시간에 맞추려면 우리가 도대체 언제
장콜을 불러야 하는가?
*이 글은 서울에 거주하는 에이블뉴스 독자인 서울시장애인콜택시이용자모임 짱콜 대표 박정혁 님이 보내왔습니다. 에이블뉴스는 언제나 애독자 여러분들의 기고를 환영합니다. 에이블뉴스 회원 가입을 하고, 취재팀(02-792-7166)으로 전화연락을 주시면 직접 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