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년을 맞아 9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2018 장애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정치권의 메시지는 듣기가 불편했다.
지난해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논란의 중심에 있던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돌연 ‘
장애인들의 대변인’을 자처했고,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장애의 문제를 ‘아픔’이라고 표현했다.
심지어 중도
장애인인
심재철 국회 부의장은
장애인들을 ‘남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존재’라며 ‘감동 포르노’로 소비했다.
이날
신년인사회는 한국
장애인단체총연맹과 한국
장애인단체총연합회가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전국
장애인단체장 및 장애계 인사를 비롯해 정·관·학계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6월 1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었기에, 정치계에서도 부쩍 참여가 많았다. 하지만 바쁜 일정 속
장애인식에 대한 숙지는 부족한 듯 했다.
‘우리의 삶을 디자인 하라’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장애계의 뜻이 담긴 슬로건 앞에서 이들의 메시지는 아직 1980년대에 머물렀다.
먼저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지난해 서울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논란의 중심이 된 인물이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자유한국당이 이제 기득권 정당이 아니라
장애인, 서민, 노동자를 아우르는 대변인이 되겠다”고 짧은 신년사를 갈음했다.
김 원내대표는 지난해 특수학교가 들어설 부지가 국립한방병원의 자리라며 서울교육청의 특수학교 설립을 지속적으로 방해해 장애계의 큰 비난을 받은 바 있다. 그랬던 김 원내대표의 ‘
장애인들의 대변인’ 발언은 진정성이 없어 보인다. 더욱이 그는
신년인사회 자리를 돌며 “강서구 분들은 안 오셨나”며 살피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장애인들을 ‘아픔’으로 표현한 것이 아쉽다. 우 원내대표는 “우리 몸의 중심이 아픈 곳이듯 우리 사회의 중심은 아픈 것, 장애의 문제”라며 “국가가 개인에게 감당하게 해서 아픈 곳으로 남아있다”고 언급했다.
물론, 우 원내대표가
장애인 형을 두고 있고, 우리사회의 취약계층인
장애인들의 어려운 현실을 표현한 점은 알지만, ‘아픔’이란 것은 부정적 시선, 치료해야 할 것으로 인식된다. 어 다르고 아 다르듯 아픔 대신 사각지대, 어려움이란 단어를 선택했으면 하는 아쉬운 마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