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에 사는 한인동포 노인들 중에 자녀와 함께 사는 이들은 매우 드물다. 대개는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노인 아파트에서 산다. 그리고 낮에는 주로 양로보건센터에 나아가 소일을 한다. 이곳에 가면 간단한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고 다양한 오락과 여흥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양로보건센터는 혼자 일상생활을 하는데 다소 불편함이 있는 노인들을 낮동안 돌보아 주는 데이센터의 개념이며 정부가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영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운영한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건강보험으로 처리가 된다.

따라서 노인들은 당당한 소비자이며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센터에서는 노인들의 취향에 맞는 점심메뉴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건강이 나빠 혼자 생활이 불가능한 노인들을 위한 양로병원도 형편은 마찬가지다. 보험카드를 가진 노인들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자신이 살고자 하는 시설을 선택하게 된다.

장애인복지도 같은 맥락에서 운영되고 있다. 정부가 운영하는 대형시설은 이제 거의 사라졌고 민영의 그룹홈이나 시설로 바뀌었다. 장애인은 정부가 지급하는 장애인연금이나 바우처 등을 이용하여 시설을 선택하여 갈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단체들도 대부분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짜서 정부나 재단 등으로부터 기금을 (grants) 받아 운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매년 실적보고 등을 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기금이 취소되거나 추후 갱신이 안될 수도 있다.

주로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생활보조원의 경우도 장애인이 소비자의 입장에서 선택하여 고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가족 중의 한사람을 고용할 수도 있다.

장애인 시설을 운영한다고 해서 결코 자선을 베푼다고 생각지 않는다. 시설을 운영한다고 해서 지역사회에서 유지 대우를 받는 일도 없다.

이런 시설들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매체이며 장애인은 소비자인 셈이다. 승객이 없으면 항공사가 있을 수 없고, 관광객이 찾지 않으면 유락시설이 필요없듯이 장애인이 없다면 이런 시설들은 필요치 않으며 여기에 종사하는 이들은 실직을 하게 될 것이다.

어떤 경우에라도 장애인에게 선심을 베푼다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될 일이다. 그들은 장애인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장애인을 위한 단체가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운영에 더 많은 재원을 쓰고 있다면 이 역시 시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미국에서도 수년전 적십자사의 간부들이 출장이나 외유 등에 지나치게 많은 경비를 쓴다고 해서 문제가 된 적이 있다. 배보다 더 큰 배꼽은 떼어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부와 사회의 인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장애인에게 베푸는 선심 복지가 아닌, 장애인 복지를 국민의 권리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비장애인들의 시각에서 보고 만들어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장애인이 스스로 필요하다고 판단한 서비스를 제공함이 마땅하다.

한국의 장애계 종사자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힘들게 일하고 있다는 사실은 보고 들어서 알고 있다. 이 또한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나의 기억 속에는 내가 한때나마 걸어 다녔다는 사실은 흔적조차 없습니다. 다만 낡은 사진첩에 남아있는 한 장의 흑백사진 이 한때는 나도 걸을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해 줄 뿐입니다. 세살에 소아마비를 앓았습니다. 81년에 미국에 와서 지금까지 살고 있습니다. 주정부 산재보험국에서 산재 근로자들에게 치료와 보상을 해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여러분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누군가 이글을 읽고 잠시 즐거울 수 있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