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연휴가 끝나고 곧바로 개봉한 한국영화 한 편이 두 달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바로 영화 <추격자>이다. 이렇게 꾸준히 사랑을 받는 이유를 보면 첫째, 박진감 넘치는 탄탄한 스토리 구성, 둘째, 혼신의 힘을 다하는 배우들의 연기, 셋째, 기존 범죄스릴러 영화와의 차별성이라고 본다.

<추격자> 포스터 ⓒ영화사비단길

연쇄살인범을 그린 영화에서 범인은 대부분 사이코패스(반사회적 인격장애)같은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이다. 또한 자신은 철저히 자신을 범죄자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관객과 적절한 심리전을 펼치면서 영화 속을 자유롭게 뛰어다닌다. 결국에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면서 범인을 찾지 못한 관객을 바보로 만들어 버린다. 하지만 <추격자>의 이야기 전개방식은 조금 다르다. 정신장애를 가진 연쇄살인범이 등장하는 것은 비슷하지만 영화 처음부터 범인이 누구인지 보여준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을 통해 관객의 뒤통수를 치는 반전적인 경향보다는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주변 사람들의 태도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객모두가 범인을 잡기 위한 추격자가 되는 거다.

범인 영민(하정우)을 추격하는 중호(김윤석) ⓒ영화사비단길

<추격자>를 잠깐 들여다보자. 연쇄살인범 지영민(하정우)는 출장안마소(일명 보도방) 접대 여성뿐 아니라 자신의 집을 찾아오는 사람을 무자비하게 살인 한다. 한편 보도방을 운영하는 전직형사 엄중호(김윤석)는 계속 사라지는 접대 여성을 찾다가 영민의 존재를 알게 되고 여성을 팔아넘긴 범인으로 확신하게 된다. 두 사람은 추격전을 펼치다 여성 실종사건과는 다른 문제로 경찰서를 가게 되는데 이곳에서 영민은 여러 명의 여성을 죽였다는 말을 한다. 당연히 주변사람들은 그의 말을 믿지 않는다. 오히려 정신이상자로 몰고 간다.

영민은 자신을 정신이상자로 생각하는 경찰과 형사를 가지고 놀기 시작한다. 범인인 자신을 눈앞에 두고 우왕좌왕하는 경찰과 형사를 보면서 짜릿한 쾌감을 맛보았을 것이다. 결국 살인과 관련된 증거가 없는 영민은 풀려나게 되고, 그는 또 다시 살인을 저지른다.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나 다시 살인을 하는 영민 ⓒ영화사비단길

영화 속 내용이 현실에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유영철 사건이나 안양초등학생 사건을 보듯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저지르는 성범죄나 살인 같은 사건·사고를 접하게 되는데 그럴 때마다 나오는 이야기가 초동수사가 미흡했다느니 늦장대응을 해서 사건이 더 커졌다는 말이다. 더 답답한 것은 범인을 눈앞에서 놓쳤다는 말이다. 수사당국의 자질을 문제 삼고자 하는 말이 아니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전지식의 부족함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영화에서 영민은 막무가내 휘두르는 주먹 앞에서 거짓 자백을 하며 사건을 더욱 오리무중에 빠뜨리지만 뒤늦게 나타난 전문분석가의 정곡을 찌르는 언변 앞에서 자신의 장애가 드러나자 심경의 변화를 일으킨다. 사실 영민은 남에게 드러낼 수 없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오면서 주변환경에 대한 그릇된 사고가 형성 된 정신장애인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장애에 대해 주변사람들은 관심을 가지기는커녕 오히려 멸시와 무시를 받아 온 것이다. 영민은 이것에 대해 잔인한 방법으로 복수를 했던 것이다. 한 명이라도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는 사람이 있길 바랬던 것이다.

이 부분은 영민과 같은 민감한 정신장애인을 대할 때는 보다 전문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취조실에서 전문분석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영민 ⓒ영화사비단길

사실 정신장애인만큼 사회적에서 많은 편견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은 없다고 생각한다. 정신장애인의 말은 무조건 거짓이고, 위험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2003년 대구지하철 방화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건의 용의자가 정신장애인이라는 사실이 보도되자 장애인단체들의 홈페이지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뉴스에는 장애인을 비난하는 글이 가득했었다. 그런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정신장애인들을 고통 속으로 밀어 넣고 있는 것이다.

살인하기 전 모습의 영민 ⓒ영화사비단길

수사를 담당하는 모든 사람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석가와 같은 전문가를 두고 있다. 현재 교도소나 군부대에서도 수감자나 군인을 대상으로 복지의 필요성을 인식해서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한 세상을 꿈꾼다면 타인에 대한 이해, 나와 다른 누군가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말아야할 것이다. 이 불신의 시대에서도

‘유토피아’는 2007년 장애인영화 전문칼럼니스트 강좌 수료생들의 모임입니다. 저희들은 영화를 사랑하고 장애현실을 살아가는 눈과 감수성으로 세상의 모든 영화들을 읽어내려고 합니다. 저희들은 육체의 장애가 영혼의 상처로 이어지지 않는 세상, 장애 때문에 가난해지지 않는 세상, 차이와 다름이 인정되는 세상, 바로 그런 세상이 담긴 영화를 기다립니다. 우리들의 유토피아를 위해 이제 영화읽기를 시작합니다. 有.討.皮.我. 당신(皮)과 나(我) 사이에 존재할(有) 새로운 이야기(討)를 기다리며.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