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일회용이다. 연습도 없고 재활용도 없이 단 한번만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인생열차에 발을 들여 놓았다면 종착역까지는 논스톱으로 가야한다. 당연히 후진도 안 되고 중간에 내릴 수도 없다. 단 종착역까지 가는 노선은 얼마든지 수정이 가능하다. 가는 길이 맘에 안 들면 다른 길로 가 볼 수는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정된 노선이 평탄하고 좋은 길인지 아니면 울퉁불퉁 험난한 고갯길인지는 알 수 없다. 미리 가 볼 수도 없을뿐더러 되돌아 올 수도 없기 때문이다.

임보혁씨. ⓒ이복남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길을 바꿔야 했고, 그 길이 좋은(?) 길이었을 때 전화위복이라고 한다. 그 때 만약 다른 길로 갔다면 지금 쯤 어떻게 되었을까. 인생열차가 가는 길에 만약 즉 if는 없다. 위기를 기회로 삼은 의지와 노력이 있을 뿐이다.

임보혁(40)씨. 그의 고향은 제주도 산방산이다.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에서 아버지 임창진(64)씨와 어머니 김행렬(61)씨 사이에서 2남의 첫째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경기(驚氣)를 잘 일으켰고 4살 무렵 심하게 열병을 앓았다. 외가가 근처에 있어 외할머니가 그를 이뻐했고 병원도 없는 시골마을이라 외할머니는 침을 맞혔다. 4살이라 한참 말을 배울 무렵이었으나 그 일이 있은 이후로 말을 잘 하지 못했다.

외할머니와 어머니는 마늘도 심고, 밀감도 따고, 물질(해녀)도 했으나 가난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아버지는 가난이 싫어 돈을 벌어 오겠다고 일본으로 갔다. 사계국민학교에 입학을 했다. 이름표 달고 가방매고 도시락 들고 학교를 왔다 갔다 할 뿐이었다. 들리지도 않고 말도 잘 못하니 공부는 뒷전이었다. 공부를 못한다고 선생님에게 야단도 많이 맞았다. 혹시라도 선생님이 농아인줄 몰랐던 것은 아니었을까.

외할아버지와 함께. ⓒ이복남

“어머니가 학교에 자주 왔으므로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통신표에는 전 과목이 양가양가였고 딱 하나 미술만 우/수였다. 그래도 친구들 하고는 잘 지냈고 학교를 마치면 딱지치기 구슬치기에 열을 올렸고, 새총으로 꿩도 잡고 용돈벌이로 지네를 잡으러 다녔다. 돌멩이를 들추면 지네가 바글바글 했는데 지네를 잡아 건재상에 가져가면 보통 한 마리에 십원을 주는데 한번은 팔뚝만한(?) 지네를 잡아 백원을 받기도 했다.

초등학교 시절. ⓒ이복남

중학생이 되었다. 어느 날 밤에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졌는데 왼쪽 귀에서 피가 났다. 모슬포 병원에 갔으나 의사는 위험하다며 서울 큰 병원으로 가보라고 했다. 외할머니와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갔고 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을 했다. 귀의 염증이 뇌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했는데 수술 후 일주일이나 깨어나지 못했다. 외할머니와 어머니는 혹시라도 잘못되는 게 아닌가 싶어 그 일주일을 피눈물로 지새웠다고 했다.

아버지는 일본에서 돈을 보내 주셨고 부산에 친척이 있어 사하구 당리동에 집을 한 채 사 두었었다. 병원에서 퇴원을 하자 부산 당리동으로 이사를 했다.

어머니는 부산 배화학교(청각장애인 학교)에 입학을 시키러 갔으나 아이들이 수화로 얘기하는 것을 보고는 마음이 변해 집근처 장평중학교에 입학을 시켰다.

혼신지의 연가/임보혁씨 작품. ⓒ이복남

부산의 중학교는 고향 학교와는 사뭇 달랐다. 고향의 친구들은 그가 농아라고 놀리지도 않았고 선생도 너그러웠으나 부산의 선생은 무서웠고 친구들은 그가 바보라고 놀리며 때리기까지 했다. 중학교 성적도 다른 과목은 양 아니면 가였고 미술에서도 이론 때문에 수를 받지는 못했기에 공부는 언제나 꼴찌였다. 친구들의 놀림에 화가 났고 공부에는 더욱 흥미를 잃어 학교에 다니기도 싫었지만 그럭저럭 졸업은 했다.<임보혁씨 이야기는 2편에 계속.>

* 이 내용은 문화저널21(www.mhj21.com)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내 이웃이 행복하지 않는 한 나 또한 온전히 행복할 수 없으며 모두 함께 하는 마음이 없는 한 공동체의 건강한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는 함께 살아가야 할 운명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아름답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진 자와 못 가진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평등하게 공유할 수 있는 열린사회를 건설해야 한다. 쓸모 없음을 쓸모 있음으로 가꾸어 함께 어우러져 나아갈 수 있도록 서로 사랑으로 용서하고 화합하여 사랑을 나눔으로 실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복남 원장은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사무총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하늘사랑가족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다.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