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은지도 벌써 10여 일이 지났다. 올해는 대선이 있는 해이며, 차기 대통령이 선출되면 대통령 인수위에서 향후 5년 동안 시민들의 삶을 챙기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할 것이다. 장애인 당사자와 장애계가 장애인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증진시킬 방법을 고민해 차기 대통령 인수위에 지혜롭게 잘 전달했으면 하는 마음이다.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이 국립 공주대학교 부설 특수학교 설립 기공식에 참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특수학교 기공식 참석은 의미 있어, 이런 곳엔 자신이 가야 한다는 대통령의 말을 인용했다. 아울러 치매 환자 가족들처럼
발달장애인 돌봄에 국가가 책임을 나눠야 한다는 대통령 발언도 언급했다.
2018년 9월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맞춤형
종합대책이 나온 후 관련 보건복지부 예산이 1년 새 5배 이상 증가해 작년 1,512억 원이 되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대통령의 시선과 공감을 디딤돌 삼아 비약적인 발달장애 정책 발전을 보였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차기 정부에선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로 발전시키길 기대한다는 말을 전했다.
이 소식을 들으며, 과거에는
지적·자폐성 장애에 관심이 없다시피 했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서 공식 석상의 화두가 되고
지적·자폐성 장애인 관련 예산이 늘어난 것만 해도 고무적이다. 그런데 이 예산 대부분이 사실은 돌봄 중심이며,
지적·자폐성 장애인이 권리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예산은 미미하다.
더군다나
종합대책은
발달장애인 평생케어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는데, 케어란 이름에서 보듯
지적·자폐성 장애인을 돌봄 대상으로 봤다. 그래서
지적·자폐성 장애인이 주체인 자조모임 지원, 결혼할 권리, 차별 없고 임금이 충분한 등의 질 좋은 일자리 정책 등 권리 주체가 되는 정책들을
종합대책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건 당연한 일이다.
근로, 고용을 보면 장애인 실업률이 비장애인에 비해 1.7배 높고,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실업률은 상당하다, 장애인 중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인구는 해마다 늘어만 간다. 일할 능력 되는
지적·자폐성 장애인이 많아진다. 이들에게 근로·고용대책을 세워 장애인 실업률을 줄이고 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이 사회에선 그런 걸 찾아보기 힘들다. 지체장애인, 감각장애인 등에 치중된 장애인 채용공고, 지적장애인 중심의
발달장애인 채용,
지적·자폐성 장애를 이유로 면접 탈락, 자폐 당사자들 대부분 대기업 자회사, 저임금 아르바이트, 단기 계약직에서 일하고, 보호작업장에서 월 10만 원 이하를 받는 지적장애인들도 많은 등의 현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