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필자는 어머님을 모시고 쇼핑을 하기 위해 영등포 롯데백화점에 방문했다. 나는 평소에
스마트 TV에 관심이 많아서 삼성 전자 매장을 둘러보았다.
매장 직원은 어머니와 나에게 풀 HD TV의 장점을 알려주었고
스마트 TV는 유튜브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만 가능한 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어머니께서는 너무 마음에 드셨는지 350만 원 가량의 TV를 구매하셨다. 집에 와서 TV를 켜보니 어머니께서는 기존의 TV와는 확실히 다르고 선명하게 보인다며 좋아하셨다. 하지만 내가 직접 유튜브를 보기 위해 리모컨을 눌러봤지만 나는 이용할 수 없었다.
시각장애인인 나에게는 음성 지원이 필요한데, 음성 지원이 되지 않아서
스마트 TV지만 나에게는
스마트 TV가 아니었던 것이다.
2019년, 나는 다시 백화점에 방문했고 UHD 65인치
스마트 TV를 구매했다. 실로암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스마트 TV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한 시간 남짓 교육받았기 때문에
빅스비 기능이 가능한지만 확인했다.
TV는 일주일 후 집에 배송됐고 기사님이 오셔서 설치도 완료했다. TV 리모컨을 키고, 유튜브를 띄우고,
빅스비 기능을 킨 다음, 음성으로 이것저것 내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자 신기하게도 드라마, 예능, 내가 좋아하는 클래식, 가곡, 가요가 잔뜩 검색되었다. 이제
시각장애인인 나도
스마트 TV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유튜브 이외에 웨이브나 왓챠 플레이는 여전히 내가 이용할 수 없다.
빅스비를 통한 음성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운영하는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삼성 전자의
빅스비 기능을 통해 음성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웨이브나 왓챠 플레이와 같은 국내 플랫폼은
빅스비를 통해 접속은 가능하나 어떤 음성 서비스도 지원되지 않는다.
삼성 전자 측에 문의하면 왓챠 플레이나 웨이브 측의 문제라고 하고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서비스가 잘 된다고 설명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의
빅스비 기능을 통해 검색과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국내 플랫폼이 개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