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척수장애인협회에서 최근 발간한 ‘2018
척수장애인욕구·실태조사’에 의하면 척수손상 후 입원치료기간은 평균 30.77개월, 약 2.5년이었고, 병원 생활은 3곳 경험이 27.4%로 가장 많고, 6곳 이상 다수의 입원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13.1%였다.
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환재활전문기관인 일상홈에서 사회복귀훈련을 받은 32명의 평균 입원기간도 24개월(최대 54개월) 이고 평균 4.5곳(최대 10군데)의 병원을 거쳐 다녔다.
이는 선진 외국의 경우 하반신 마비인 흉수는 3~4개월, 전신 마비인 경수는 6~7개월 만에 퇴원의 경우와 비교하면 최대 10배의 병원생활을 한다.
중도장애인인
척수장애인에게 매우 중요한 병원생활을 의료적인 관점에서만 시간을 보내다가 아무런 준비없이 지역사회로 내 팽겨지는 이 현상은 필자가 다친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없다는 사실이 더 슬프다.
의료적 접근은 초기 1~2개월이면 충분하다. 이후에 심리, 사회, 직업, 가족재활 등 종합적인 재활을 통해 본인의 장애를 수용하고 사회로 나가 일상의 삶을 살게 해야 하는데 지금의 의료시스템은 너무나 부족하고 허술하기 짝이 없다.
보건복지부도 이런 문제점을 파악하고 작년 10월부터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회복기(1~6개월) 동안 집중적인 재활치료를 보장하고 조기 일상복귀 및 지역사회 재활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등
재활의료서비스 기반을 개선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15개의 병원을 지정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