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사회복지, 4차 산업혁명을 주목하다”라는 주제로 과천시장애인복지관에서 사회복지 영역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화두를 열며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그 컨퍼런스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본 이해를 갖게 되었다.

당시에 느낀 것은 무엇인가 대단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 변화의 폭과 끝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500만개 정도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일로부터 사람이 소외되게 될 것이라는 좀 암울한 느낌도 있었다. 지금도 머릿속을 맴도는 단어들은 융합, 신축성, 유연한 고용, 맞춤 서비스, 이전까지 경험하지 못한 현실과의 직면 등등이다.

그러면 많은 직종이 사라지고, 새로운 일이 생성되면서 산업 전반이 격변 속으로 소용돌이치는 상황 속에서 장애인복지 서비스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특히 인간의 정서를 헤아리고, 개인과 환경,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는 사회복지는 또 어떻게 되는 것일까? 다행이다 싶은 것은 4차 산업의 태풍 속에도 사회복지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라는 전망에 다소 안도감이 교차되었다. 참으로 희비가 엇갈린다.

4차 산업 혁명의 결과로 우선 예상되는 것은 신체적인 장애로 겪게 되는 어려움은 기술의 발달로 상당 부분 개선되거나 보완될 것으로 보인다. 로봇 산업, 컴퓨터와 결합된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달, IoT 발달로 지체장애인을 비롯한 장애인의 이동, 재활 훈련, 보호 등에 많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단적으로 지체장애인의 이동권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그리고 보조공학의 발전을 통한 장애의 혁신적인 완화는 장애인 삶의 질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착용하는 로봇을 통한 영화와 같은 600만불의 사나이 실현, 3D 프린트의 발전을 통해 장애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 보조기기의 제작과 지원으로 최적화된 서비스의 실현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이오산업과 결합하여 유전적 장애 요인 제거는 물론, 뇌파 인식의 발전이 지속됨으로써, 일반적인 장애 요인을 극복할 것으로 보여, 장애의 개념과 정의를 다시 정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과 같이 가상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속에서 펼쳐지는 다양하고 실질적인 변화는 서비스 현장의 모습을 바꾸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장애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에 있어서 언어치료, 특수교육, 작업치료, 직업재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생동감 넘치는 영상과 간접 체험을 통해 실제와 같은 경험은 물론 아동의 발달에 긍정적인 자극을 기대하게 한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 서비스 실현은 물론 적절한 정책 수립 및 서비스 제공의 최적화를 그려 볼 수 있겠다. 더 나아가 복지와 첨단 산업, 다른 영역과의 융합을 통해 종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이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복지 서비스 공급자에게도 많은 변화를 요구할 것이다.

한편 4차 산업 혁명은 긍정적인 전망과 그에 상응하는 그림자 역시 길게 드리울 것이다. 산업의 재편으로 인한 부익부 빈익빈의 가속화 속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또 다른 소외와 차별은 현재보다 더 가중될 소지가 있다.

노동으로부터 더 소외받을 가능성이 높은 장애인의 생존 방법은 무엇일까? 그리고 컴퓨터와 기계로 채워지지 않는 인간 본연의 정서적 교감, 발달장애인과 정신장애, 노인 등과 같이 4차 산업혁명의 적응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사람들을 어떻게 지원하고, 함께 할 것인가?

문제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하고, 예상하기도 쉽지 않은 급변하는 변화에 장애를 가진 사람이 적응하고, 사회가 장애 친화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도록 촉구할 것인가? 현재로써는 답이 잘 떠오르지 않고 복잡하기만 하다.

그렇지만 4차 산업혁명의 격랑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게 방향과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변질되지 않는 속성에 근거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유엔의 장애인권리협약에서 강조하는 장애인의 권리와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누려야 하는 존엄성, 지역사회로부터 배제되지 않고 이웃과 함께 누려야 할 평등함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장애인의 욕구 해결 수준을 넘어 장애인이기에 갖게 되는 특별한 권리의 충족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정책이 수립되고,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적절한 삶의 질이 향상되고, 사회적인 서비스 지원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장애인복지 서비스 영역에서는 장애인의 포괄적 모델(의료+사회+권리모델의 균형적 안배)을 통한 권리실현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된 장애 개념과 사회적 합의, 사회적 서비스 지원 체계의 재구축과 정교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 장애인복지 영역에서 일하는 전문가와 지원자의 4차 산업 혁명에 맞는 실무 재교육과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교교육의 변화는 이제 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복지와는 전혀 무관할 법한 영역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과감한 도전과 창의성은 4차 산업혁명을 헤쳐 나아가는 유일한 왕도라고 생각한다. 변화의 핵심을 주시하면서 시행착오 속에서 길을 묻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칼럼니스트 곽재복님은 현재 RI KOREA 정책과서비스분과과 위원이며, 과천시장애인복지관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RI KOREA(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전문위원회)'는 국내·외 장애 정책과 현안에 대한 공유와 대응을 위해 1999년 결성됐다. 현재 10개 분과와 2개의 특별위원회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인천전략 이행,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 국내외 현안에 관한 내용을 칼럼에 담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