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아, 너 양복 없니? "

그녀와 데이트를 하기 일주일 전, "이번에는 정장을 입고 만나자." 는 약속을 했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점심을 먹기로 한 자리였기에 그녀도 한껏 치장을 하고 나타났지만 나에게는 양복은 커녕 정장이라 부를 수 있는 옷이 없었다.

"몸이 불편할수록 더 좋은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이 더 멋있어 보일텐데 왜 평상복으로 입고 왔느냐", "약속을 못 지켜서 삐졌다"며 토라진 그녀를 달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지만, 그럴 수 밖에 없는 사정이 있었다.

학교에서 해 보고 싶었던 일을 포기하게 만들었던 옷 문제가 그녀의 기분까지 나빠지게 만들고 말았으니, 정장 한 벌이 더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당시, 내가 다니던 학교의 학보사에서 학생 기자를 모집한다는 공고가 나왔다. 모집 공고문을 하나하나 읽어 보니 별다른 조건이 필요한 것도 아니었다. 시사 및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고,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신입생이면 지원이 가능했기에, 장애를 가지고 있었지만 한번쯤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아 한번 해봐야겠다"고 결심하던 순간 나를 좌절시킨 것은 모집 공고 문구 맨 아랫줄이었다.

"서류 전형을 거쳐 개별 연락을 드리며, 면접 시 필히 정장을 착용해야 함. 평상복으로는 면접실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아이가 저런데, 목걸이를 하고 다닐 생각이 날까?"

나이 서른이 넘은 지금까지 집에서 한 번도 듣지 않았던 말은 "몸도 불편한데 할 수 있겠니?" 라는 말이었다.

육체적인 부자연스러움을 가능성이나 정신적인 장애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었고, 비장애인 아이들이 학창 시절에 "공부 열심히 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면, 나는 동일한 시기에 "무엇이든지 두려워 하지 말고 시도해 봐"라는 말을 더 많이 들으며 10대 시절을 보냈다.

"몸도 불편한 아이에게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 아니냐" 는 주변 사람들의 만류에도 표정 한 번 변하지 않은 식구들이었다.

그러나 나는 정작 "몸이 불편한데 양복을 입으면 더 불편하지 않겠느냐, 그러다 넘어지기라도 하면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더 안 좋을 수 있지 않느냐"는 다른 사람들의 만류 때문에 정장을 구입하지 못했다.

식구들 중 몸이 불편한 사람이 있다면, 장애를 숨기려고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지역 사회에 적응한다는 것이 내가 세상에 태어난 이후 부모님을 비롯한 내 가족들의 한결같은 다짐이었다. 하지만 마음 속 결심을 현실에서 실행하는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다.

나와 함께 병원에 가던 어머니의 목에 목걸이가 있는 것을 본 행인은, "자식이 저런데(몸이 불편한데) 목걸이를 하고 다닐 생각이 날까?"라고 비웃었고, 식구들 역시 "동생이 몸이 불편한데도 표정이 정말로 밝다"고 칭찬 아닌 칭찬을 했었다.

그날 이후상당히 오랫동안 나는 어머니가 나와 함께 다닐때는 물론, 평상시에도 외출시에 장신구를 착용하거나 좋은 옷을 입고 나가는 것을 볼 수 없었다.

가족 구성원 중 누군가의 장애가 결코 좋은 일이 아니기는 하지만,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마저 편견때문에 막혀야 할 이유는 절대로 없는 것이다.

"ktx 특실 드릴까요?" VS "무궁화는 오래 기다리셔야 해요."

학교를 졸업하고 면접을 보기 위해 처음 구입한 정장. 그 옷을 입고 지방에 내려가기 위해 "제일 빠른 기차표 주세요."라고 애기했을 때와, 아무렇게나 옷을 입고 직원에게 목적지를 이야기했을 때, 옷차림에 따라 나를 대하는 태도는 하늘과 땅 차이였다.

정장을 입었을 때는 "지금 시간이 얼마 안 남았기는 한데, 가실 수 있겠어요? ktx 특실 있는데요 고객님."이던 직원의 말이 평상복을 입고 나타나자 "무궁화호 타려면 좀 기다리셔야 해요."로 바뀌었다.

"동네 앞 수퍼에 갈 때도 옷 잘 입고 단장하고 가야 무시당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제대로 체험하는 순간이었다.

정장을 입었을 때는 "선생님도 힘드시겠지만 몸이 불편한 사람들 좀 도와주십시오."라며 후원회의 계좌가 적힌 유인물을 내밀다가도, 평상복을 입고 좋지 않은 몸 상태로 나타나면 "어디 어디에 몸을 잘 고치는 기도원이 있다."며 전도용 쪽지를 내미는 세상.

장애인들에게도 이처럼 옷차림이 중요한 사회에 살고 있지만 정작 몸이 불편한 이들이 정장을 입은 모습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백화점이나 양복점에서 정장을 구입하는 장애인의 모습을 보는 것은 더욱 어렵다.

'입은 거지는 얻어 먹어도, 벗은 거지는 못 얻어먹는다'는 속담이 지금도 유효하다면 나는 당연히 '옷을 잘 입은' 장애인이고 싶다.

장애인으로서 이 사회에서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고 하더라도, 때로는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쉽게 대하는 장애인이기보다 인간으로서 존중받을 수 있는 사람, 옷차림 하나로 장애를 넘어 인간으로서의 대접을 받고 싶다.

좋은 옷을 구입할 만한 능력을 키우는 것은 전적으로 나의 노력에 달려있겠지만 말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정현석 칼럼니스트 집에서만 살다가 43년 만에 독립된 공간을 얻었다. 새콤달콤한 이야기보다 자취방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겪었던 갈등들과 그것들이 해결되는 과정이 주로 담으려 한다. 따지고 보면 자취를 결심하기 전까지 나는 두려웠고, 가족들은 걱정이었으며, 독립 후에도 그러한 걱정들은 현재 진행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