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정도는 경미하지만 이해받지 못해 생기는 오해와 갈등이 종종 있다. 보이는 장애만 장애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장애도 장애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그해 봄의 교통사고

스물두해의 봄은 내게 잊히지 않는 날로 기억된다. 그날 이후 내 운명이 바뀌게 된 날이기 때문이다. 1994년 5월 21일, 교통사고를 당했다. 여느 날처럼 출근을 하기 위해 버스를 타려고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는데 3차선 멀리에서 파란 트럭이 횡단보도에 다가오더니 나를 들이받았다. 몸이 붕 뜨더니 창문 앞에서 내 머리가 몇 번 돌다가 붕 뜨고는 땅 위로 털썩 주저 앉아버렸다. 그리고 잠깐 의식을 잃었다.

다친 부위는 머리와 허리였고, 오른쪽 귀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정밀검사를 하기 위해 몇 달을 걸려 큰 대학병원에 가게 되었다. 이비인후과 의사가 청력검사를 했고 내 오른쪽 귀가 심각하게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의사는 나에게 오른쪽 귀신경이 끊어졌다며 장애인증을 만들라고 했다. 하지만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아 '안 해요'라고 대답했다. 왜 그랬을까? 순간적으로 장애라는 단어에 심한 거부감이 들었나 보다. 장애를 받아들이기 싫었던 것 같다.

중심 잡기의 어려움

그 뒤 알 수 없는 고통이 뒤따랐다. 지하철을 탈 때도 헤매게 되고 길을 다닐 때도 많이 헤맸다. 중심을 잡을 수가 없어 참 힘들었다. 오른쪽 귀에 수화기를 대면 사람소리가 들리지를 않았다. 왼쪽 귀 하나로 버텨야 했다. 가끔씩 이비인후과에 다니면서 치료를 하였다.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정신과 약을 먹으면서 귀에까지 문제가 있으니 외출하는 게 참 힘들었다. 더 이상 감당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 장애인 등록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교통사고를 당한 지 5년이 지난 27세 무렵의 일이었다. 예전의 그 종합병원에 들러 청력검사를 하였지만 의사는 장애인 등록을 할 수 없다고 했다. 법이 바뀌어서 양쪽 귀가 다 좋지 않아야만 가능하다는 설명이었다. 귀의 청력 수치도 조금은 달라져 있었는데 달리 도리가 없었다.

돌아온 청력

그 후 습관적으로 오른쪽 귀의 청력을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누군가와 전화통화를 하다가도 일부러 오른쪽 귀에다 수화기를 대곤 한다. 처음에는 사람소리가 들리지 않았는데 어느 날 갑자기 사람소리가 조그맣게 들리기 시작했다. 그때 혼자서 만세를 불렀다. 그리고 주변사람들에게 사람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남들에게는 별일 아닐지 모르지만 내게는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기에….

그 뒤로 청력이 서서히 좋아지기는 했지만 정상 수치로 돌아오지는 않았다. 그래도 지금은 통화가 가능할 정도이다. 이 정도 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기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아직도 불편한 것

아직도 불편한 점은 남아 있다. 보이지 않는 골목길 어귀에 있는 차량 소리, 내 뒤에 있는 차량 소리를 듣지 못해 어이없는 교통사고도 몇 번 당했고 위험한 순간도 있었다. 당시에는 별로 의식하지 못했지만 되돌아보면 모두 좋지 않은 청력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세 돌 반 된 아들이 제법 또박또박 하는 말도 잘 알아듣지 못할 때가 있다. 아이의 발음이 서툴러서 그럴 경우도 있겠지만 청력 때문에 제대로 알아듣기가 힘들어 몇 번씩 물어보게 된다. 그래도 아이는 몇 번식 물어보는 말에 화를 내지 않고 몇 번이고 다시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어른들 중에는 다시 말해달라는 요청에 화를 내는 분도 있다. 결혼 전 직장에 다니면서 어쩔 수 없이 전화업무를 피해야 했던 기억도 있다. 혹시라도 몇 번이고 되물으면 상대방에게 결례가 될까봐 피할 수밖에 없었는데, 지금도 아주 가끔 그럴 때가 있다.

청각장애인으로 등록을 하진 못했지만 나는 이중의 장애를 겪고 있다. 정신장애에다 청각장애까지 있다 보니 남모를 고충이 많다. 둘 다 사람들에게 보이는 장애가 아니다 보니 장애 정도는 경미하지만 이해받지 못해 생기는 오해와 갈등이 종종 있다. 그렇다고 만나는 사람마다 일일이 설명하기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보이는 장애만 장애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장애도 장애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장애는 참 다양하다.

*칼럼니스트 정미란 님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정신장애를 갖고 있는 여성으로서 올해 네 살 된 아들, 남편과 함께 알콩달콩 살고 있으며, 2008년 수필로 등단한 수필가이기도 합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장애여성은 장애남성과 다른 경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장애여성 안에도 다양한 차이와 다양성이 존재한다. "같은 생각, 다른 목소리"에서는 장애여성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에 대해 조금씩 다른 목소리로 풀어나가고자 한다. 장애여성의 차이와 다양성을 드러내는 작업을 통해 이제까지 익숙해 있던 세계와는 다른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