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용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남지사장.ⓒ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미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주요 후보들은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일자리 창출을 핵심 공약으로 내건 가운데, 청년들의 표심 잡기 전략에 매진하고 있다.

향후 10년간 79만 명의 대졸자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고용노동부의 전망과 최근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압박감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기사는 청년들의 취업 시장이 녹록치 않다는 것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현실의 벽과 그 기준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러한 현실이 대수롭지 않게 느껴질 만큼 청년들에 대한 사회적인 조치는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들의 취업 시장은 어떠한가?

대선이 치러진 이후,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장애인들의 취업 전망은 나아질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을 가져본다.

박영숙 교수(유엔미래포럼 대표)의 저서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서는 미래 취업시장은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인공지능과 유전공학 등 불가능을 없애는 기술이 삶의 풍요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반면, 이제 낡은 것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유용성의 원리’가 초기 산업혁명 시기보다 더욱 거세게 작동하여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속도보다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될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 혼란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상반된 전망도 내놓고 있다.

현재, 장애인 고용 현실은 여전히 어둡다.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민간 기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의 2.9% 이상을 장애인으로 채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지만 상당수의 대기업이 의무고용률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고용에 힘쓰기보단 고용부담금을 납부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거기에 ‘장애인’을 키워드로 일자리 공약을 제시한 대선 후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들이 현재 취업 취약계층이라는 이유로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비장애인들의 일자리 창출이 공약대로 크게 활성화된다면 장애인들의 취업 전망 역시 밝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앞서 말했듯 상당 부분을 기술이 대체하게 된다면 장애인의 ‘한계’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게 되고,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추구하는 수익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만큼 인식의 진보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폐지되었지만 인식은 미처 따라가지 못했던 역사적 사실로도 알 수 있듯 인식개선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즉, 4차 산업혁명 이후에는 장애인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장애인의 취업을 저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난 4월, ‘꿈, 날개를 달다’라는 슬로건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한 기업 포상과 고용 우수 사례를 나누는 ‘장애인고용촉진대회’가 열렸고, 같은 달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이 이어졌다.

이렇듯 매년 4월은 정부에서 정한 ‘장애인 고용촉진 강조 기간’으로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대선 후보들의 실질적인 장애인 취업 대책은 구체적이지 않은 바,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장애인 취업 대책으로 장애인 고용을 위해 힘쓰는 정부가 탄생하기를 기대해본다.

*이 글은 이승용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남지사장 님이 보내왔습니다. 에이블뉴스 회원 가입을 하고, 취재팀(02-792-7166)으로 전화연락을 주시면 직접 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