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때면 그는 노트북으로 시험을 쳤는데 하필 노트북이 고장이 나서 발을 동동 구르자 교수는 조교 방에서 조교의 컴퓨터로 시험을 치르도록 배려해 주었으나 어쩌다 그것마저 날아가 버렸다. 조교에게 어떻게 하느냐고 하니 “제발 좀 징징거리지 마라”며 소리를 질렀다.

두근거리는 가슴을 안고 교수님을 찾아가서 미안하다고 했다. “미안해 할 것 없다. 나도 미국서 공부할 때 한국인이라고 특혜를 받았다. 시험 다시 치면 된다.” 악마 속에서도 천사가 있었으니 송원문 교수님이었다.

회사에서 행사를 진행하는 한지혜씨(왼쪽). ⓒ이복남

듣기 시험 때는 거의 초죽음이 되었고 한번은 빵점을 받기도 했다. ‘다음 문장을 듣고 괄호 속에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 문제를 듣고 괄호가 어디 있는지 찾다보면 이미 문제는 저 만치 가버렸던 것이다. 1학년 그리고 2학년은 거의 전쟁이었다. 그것도 무시무시한 지옥에서의 전쟁 말이다.

3학년이 되자 어느 정도 적응이 되어 사회복지과를 부전공으로 듣기 시작했다. 사회복지과 공부를 하면서 여성장애인의 이중고에 관한 공부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졸업하고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로 진학을 했다. 보름쯤이나 되었을까. 책을 펼치니 눈앞에서 번쩍번쩍 번개가 치는 것 같더니 밝은 곳은 검게 보이고 어두운 곳은 흰 그림자가 따라 다녔다. 병원엘 갔는데 의사 왈 “어차피 잘 안 보이는데 뭐가 문제냐?” 너무 기가 막혀 말문이 막혔다. 과로 또는 스트레스로 망막에 출혈이 있었던 것 같단다.

대학원을 그만 두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조금씩 안 보이는 두려움에 아침이 오는 게 두려웠다. 더 이상 공부도 못 할 것 같고 취업도 힘들 테고 하루하루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구세주가 나타났다. 친구가 영문과 조교를 하고 있었는데 영어 학습지 교사를 해 보지 않겠느냐고 했다. ‘미래텝스교육원’이라는 회사였는데 텝스(TEPS,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이 개발한 영어능력 평가시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전화로 학습지도를 하는 곳이었다.

자신도 뭔가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꺼이 그 일을 맡았다. 마침 한 사회복지관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재활교사자리가 있어 그것도 맡았다. 낮에는 복지관에서 중도실명자들에게 재활교육을 하고 밤에는 전화로 학습지도를 했다. 그러면서 차츰차츰 사회에 적응해 나갔다.

그렇게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지 한 일 년쯤 지났을까. 회사에서 학생들의 반응이 좋다면서 내근을 하라고 했다. 아침에 출근하는 회사. 월급을 받는다는 사실에 감개가 무량했다. 회사에 나가면서 문주성 사장도 만나고 동료들과도 어울렸다. 그런데 교육정책이 바뀌면서 텝스가 시들해졌다. 사장은 오랫동안 업종전환을 고심하다가 기능성 화장품인 ‘미채화장품’을 설립했다. 영어교사와 화장품회사라니…….

남은 회원들이 있어 출근은 하고 있었지만 영어교사들을 어떻게 해야 할지 사장은 사장대로 그는 그대로 쉽사리 결론을 못 내리고 있었다. 어떻게 해야 하나. 몇날 며칠을 끙끙 앓다가 드디어 결심했다. 회사에 남기로.

회사에서 근무 중인 한지혜씨. ⓒ이복남

문주성 사장 앞에 기획서 한 장을 제출했다. 화장품 회사라면 고객관리를 해야 할 것 아닌가. 그것을 자신을 맡겠다고 했던 것이다. 고객관리의 필요성과 어떻게 고객관리를 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자 자신의 결심을 밝혔던 것이다. 오우케이!

‘미래텝스교육원’ 에는 지체장애인 전화 교사가 한 사람 있었는데 그 장애인에게는 재택근무를 맡기기로 했다. 회사는 어렵지만 조금씩 성장을 했고 사장님도 그를 신뢰했고 그도 회사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언제가 저희 사장님이 훌륭한 오너는 개개인의 자질을 가진 직원들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게 해 주는 자라고 하셨는데 그 말이 가슴에 와 닿았어요.”

아무것도 모르는 시각장애인을 편견 없이 능력으로 냉철이 평가해주시고 업무책임을 맡겨 주신 사장님이 있었기에 자신도 몰랐던 자질과 달란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 자질과 달란트를 단련시키는 데는 자신의 의지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객관적으로 봐 줄 수 있는 마음 따뜻한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혼자서 시작했는데 현재 고객지원부에는 재택근무자까지 14명이 있고 그는 총책을 맡고 있는 과장이다. 직원들이 다 후임이기 때문에 그들 앞에서는 굳이 자신이 시각장애인임을 밝히지 않아도 메모는 큰 글씨로 써 주는 등 직원들이 알아서 배려 해 준다.

대학에서 사회복지과를 부전공으로 하기는 했으나 그동안 교과목이 바뀌는 바람에 아직도 한 과목을 학점은행제로 공부를 하고 있다. 사회복지사 자격을 따고나면 장애인복지를 할 것인가 아니면 CS(Customer Surprise) 즉 고객관리를 계속할 것인가는 생각중이란다.

“고객님을 사랑하는 미채화장품 한지혜입니다.”

오늘도 그는 밝고 씩씩하게 업무에 임하고 있다. 한지혜씨의 삶 끝.

내 이웃이 행복하지 않는 한 나 또한 온전히 행복할 수 없으며 모두 함께 하는 마음이 없는 한 공동체의 건강한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는 함께 살아가야 할 운명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아름답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진 자와 못 가진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평등하게 공유할 수 있는 열린사회를 건설해야 한다. 쓸모 없음을 쓸모 있음으로 가꾸어 함께 어우러져 나아갈 수 있도록 서로 사랑으로 용서하고 화합하여 사랑을 나눔으로 실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복남 원장은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사무총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하늘사랑가족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다.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